본문 바로가기

발생주의2

FCF 뜻,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개념,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의미 FCF란 Free Cash Flow의 약칭으로, 잉여현금흐름, 다른 말로는 미래 현금흐름이라고도 한다. 이 FCF라는 지표는 기업분석시에 살펴보는 항목 중에 하나인데, 기업의 현금흐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무제표에서 현금주의원칙으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해의 현금이 들어오거나 나간 것을 항목별로 보여준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원리로 쓰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시시각각 흐르는 현금의 양을 디테일하게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현금흐름표를 봐야 한다. 현금흐름표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FCF,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중에서 영업비용, 세금.. 경제관련 2021. 5. 6.
발생주의 뜻, 현금 거래 발생이 기준 시점, 비용처리 순 자산 시점에 따라 구분 발생주의 의미, 거래 발생이 기준 시점, 비용처리 순 자산 시점에 따라 구분 발생주의 회계처리 방식 개념 일반적으로 회계처리방식은 큰 범주로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뉘는데 발생주의와 현금주의로 나뉜다. 여기서 발생주의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으로 현금이 실제로 오고 가지 않아도 미리 순자산에 반영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아마도 대부분의 기업체들이 발생주의 회계처리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내가 친구에게 사과 한 상자를 팔고 돈은 나중에 어떤 시일에 받기로 약속했다면 사과한 박스 값을 이미 미리 이익에 반영하는 것이다. 또 반대로 내가 줄 돈, 즉 채무가 생기면 그 또한 실제로 대금을 치르는 시점이 아닌, 채무가 발생된 시점에 비용처리를 해서 순 자산에 반영한다. 가계부를 정리해본 사람은 알겠지.. 경제관련 2021.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