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주5 보통주 우선주 차이, 같은 주식 같지만 다른 주식,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 주식 투자를 하다 보면 종목 이름 뒤에 붙는 ‘우’라는 글자를 본 적이 있을 거예요. 예를 들어 ‘삼성전자’와 ‘삼성전자우’처럼요. 여기서 ‘우’는 우선주를 뜻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보통주 우선주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 무엇이 다르고, 어떤 주식을 선택하는 게 나에게 더 맞을지까지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보통주 우선주 차이, 어떻게 다르고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보통주는 무엇인가요?보통주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일반적인 주식이에요. 회사가 발행하는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주식으로, 종목 이름 뒤에 ‘우’가 붙지 않으면 보통주라고 보면 됩니다. 보통주를 보유한 주주는 주주총회에서 회사의 중요한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집니다.예를 들어, 회사의 경영 방침을 정하거나 중요한 결정.. 주식투자 2024. 12. 27. 더보기 ›› 버크셔 해서웨이 배당, 얼마나 줄까? 미국 주식 관심 갖고 계신 분들 중에서는 버크셔 해서웨이라는 기업에 대해 들어보지 못했을 리가 없는데요.오늘은 버크셔 해서웨이 배당금에 대해 짧게 알아보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전, 미국주식으로 포트폴리오 만드시는 분들 참고해 보시면 좋을 듯합니다. 포트폴리오를 세우는데는 체계적인 전략이 필요하니다. 월배당 100만원 포트폴리오 만드는 법 단계별 정리월배당주에 투자하여 100만 원 정도 현금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포트폴리오에 관심 갖고 계신 분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번 글에 어떤 월배당주들이 있는지 소개드리며, 나름 자신의 성향에danbi-zoa.tistory.com 버크셔 해서웨이란?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는 워런 버핏이 이끄는 미국의 대형 다각화.. 주식투자 2024. 9. 13. 더보기 ›› 메자닌 투자 뜻, 채권과 주식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상품 메자닌 투자 뜻, 채권과 주식의 장점을 모두 갖고 있는 상품 메자닌이란? 메자닌은 건물 1층과 2층사이의 중간층을 일컫는 이탈리아어에서 유래했다. 즉, 메자닌이라는 말은 이것도 아니고 저것도 아닌 그 중간 어딘가에 있는 무언가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금융권에서는 채권과 주식의 성격을 모두 갖고 있는 금융상품을 일컫는 데 메자닌이라는 말을 쓰게 되었다. 신주인수권부사채(BW), 전환사채(CB)등이 명시적으로는 사채이지만 주식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메자닌 투자상품에 속한다. 상승장에서는 주식과 같은 수익을 챙길 수 있고, 하락장에서는 원금보장이 되는 방어형 채권상품이다. 그러나 채무불이행(디폴트)의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 선순위채권에서는 밀리지만 엄연히 채권이므로 주.. 경제관련 2022. 12. 16. 더보기 ›› 버크셔 헤서웨이 a b차이, 같지만 다른 주식 버크셔 헤서웨이 a b차이 무엇일까? 같지만 다른 주식 워렌버핏이 CEO로 있는 금융회사 버크셔 해서웨이라는 기업이 있다. BRK 티커를 사용하는데, A Class, B Class로 나뉘어 있다. 국내주식을 해 본 사람이라면 보통주와 우선주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지만, 사실 엄밀히 따지고 보면 그런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워렌버핏의 철학이 녹아 있기 때문이다. 가장 큰 차이점은 가격 우선 가장 큰 차이점은 가격이다. 버크셔헤서웨이의 A주 B주의 눈의 띄는 차이는 가격이다.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차이점이 부수적으로 생긴다. 가격은 분할되는 양에 따라 달라진 것이다. 즉 B주는 A주를 정확하지는 않지만 약 1만분의 1로 분할해놓은 거라고 이해하면 된다. 그대신 A주는 가격 분할을 하지 않는다. 그래.. 경제관련 2022. 3. 18. 더보기 ›› 우선주 뜻,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사는 이유 우선주 뜻,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사는 이유 우선주란? 주식거래를 하다 보면 종목명 뒤에 (우)라는 글자가 적혀있는 걸 보신 적이 있으실 거예요.이게 바로 "우선주"인데요. 그래서 오늘은 우선주가 뭔지에 대해 잠깐 알아볼게요. 우선주라는 것은 간단히 말하면, 의결권이 없는 주식을 뜻하는데요. 주식이라는 제도가 어떤 건지 다시 한번 살펴봅시다.기업이 주식이라는 것을 발행하고, 그 주식을 산 사람이 회사의 주인이 되죠.주식을 발행하면 투자금을 얻게 되고, 이것은 채권을 발행하지 않아도 자금 조달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에게는 유리한 점이 있습니다. 주식을 산 사람은 기업실적에 따른 배당이 나오고, 기업에 참여할 수 있는 의결권을 갖게 되죠. 우선주와 보통주의 차이점, 우선주를 발행하는 이유 사실, 주식거래.. 경제관련 2021. 1. 14.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