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급준비율2 본원통화 뜻, 신용창조 과정, 자본주의의 기본 원리, 빈부격차는 계속해서 증가 본원통화 뜻, 신용창조 과정, 자본주의의 기본 원리, 빈부격차는 계속해서 증가 본원통화 뜻 여러분, 대한민국이 가진 실물 지폐가 얼마나 될까 생각해보신 적 있나요? 대한민국이 보유한 실물 지폐(동전 포함)는 어려운 말로 본원통화라고도 하는데요. 본원통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본원통화는 실제로 대한민국 내에서 돌아다니거나, 창고에서 나가기를 기다리고 있는 현금(지폐, 동전)의 양을 모두 합한 것입니다. 조폐공사가 돈을 찍고 한국은행으로 보내면, 한국은행은 지폐의 고유번호를 전산상에 입력하고 대기하고 있습니다. 그럼 한국은행에서 준비! 땅! 하고 우리가 잘 아는 1 금융권 (신한, 우리, 국민 등)으로 돈을 넘깁니다. 그럼 이때, 1금융권으로 돈이 넘어오는 순간 본원통화로 잡힙니다. (한국은행에 있는 돈은 본.. 경제관련 2021. 5. 24. 더보기 ›› 지급준비율 뜻, 은행 전체 예금액 중 현금보유액의 비율, 뱅크런 방지 대책 지급준비율 의미, 법정지급준비율이란?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급준비율의 기초개념을 간단하게 설명드릴게요. 지급준비율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전체 예금액 중, 현금으로 보유한 금액의 비율을 말하는데요. 여기서 현금이란 물리적으로 눈에 보이는 실물 지폐나 동전을 의미합니다. 처음 이 단어를 접하신 분들은 이게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안 가실 거예요. 은행들은 예대마진(예금과 대출의 마진)으로 이익을 남기는데요. 은행이 벌어들이는 순수익은 아래와 같죠. 순수익: 대출(안전한 투자)로 돈을 굴려서 만들어낸 수익 - 예금을 받고 고객에게 지급한 이자액 은행은 고객들에게 예금을 받아 모으죠, 이게 예치금이잖아요. 그리고 고객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이자를 줍니다. 그럼 은행은 그 돈으로 안.. 경제관련 2021. 5. 16. 더보기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