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AS 뜻, ROI와의 차이점, 광고대비 수익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확인
ROAS 뜻, ROI와의 차이점, 광고 대비 수익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확인
ROAS란 무엇일까?
ROAS는 'Return on Ad Spend'의 약칭으로 '광고비용 대비 수익률'을 의미한다.
어떤 제품을 판매하는 주체들은 제품을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 판매건수를 늘려야 마진이 높아진다.
그래서 광고에 비용을 투자하고 이익을 높이려고 한다. 이때 투자된 광고비용에 대비해서 수익률이 얼마나 되느냐를 확인해보기 위해 만든 지표가 바로 ROAS이다. 광고 대비 수익이다. 예를 들어 구글 애드센스에 광고를 게재하는데 100만 원이라는 비용이 들었다. 그 광고를 클릭하여 발생한 매출액이 150만 원이라고 한다면, ROAS는 150%의 값을 갖게 된다.
ROAS 계산했을 때, 100%보다 높으면 효과가 있는 것을까?
그렇지 않다. 물론 광고비를 써서 매출이 발생하긴 했어도, 매출액에서 여러 가지가 빠지기 때문이다. 원가나 판매관리비용 등을 제한 금액이 50만 원이 된다고 하면, 다른 판매 경로가 없이 광고만으로 팔았다고 가정했을 때, 광고비용으로 100만 원을 쓴 것은 50만 원 손해를 본 것과 같다. 그래서 ROI라는 개념도 확인을 해야 한다. ROI는 내가 쓴 총투자액에서 남긴 마진, 즉 이익을 따지는 계산법이기 때문에 광고비 투자로 인해 ROI가 올랐으면 좋은 것이가 ROI가 오히려 떨어졌으면 그 광고는 안 하는 것만 못하다.
두 가지를 같이 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ROI 개념, ROAS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비슷한 용어로 ROI가 있다. 앞서 말했지만, ROI는 광고 용어라기보다는 조금 더 큰 틀에서 투자 대비 수익률을 표현한 것이다. 예를 들어 내가 어떤 투자수단에 3000원을 투자하고, 300원의 이익을 남겼을 경우 ROI는 10%가 된다. 어떤 투자 수단이 있을 때 상세한 과정보다는 최초의 투자금, 최후의 이익만을 생각하는 개념이 바로 ROI이다.
숲 전체에 들어간 강물의 양과, 나오는 강물의 양을 계산하는 것이다. 숲 내부에서 강이 어떻게 흐르고, 물길이 어디로 빠지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는 없다. ROAS가 홍보를 한 비용과 그에 따라 발생한 매출액을 나타내므로 더욱 마케팅에 초점을 맞춘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광고 효과의 실제 유효성을 판가름하기 위해서는 ROAS를 확인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으나, 광고가 실질적으로 기업 운영에 도움이 되느냐는 ROI로 보는 것이 맞다.
ROAS 개념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ROI 뜻, 투자대비 수익률, 투자행위로 인한 효율, 광고효과분석 수단일까?
ROI 뜻, 투자 대비 수익률, 투자행위로 인한 효율, 광고효과 분석 수단일까? ROI 개념 ROI는 Return On Investment의 약자로, 투자대비수익률을 의미한다. 쉽게 말해, 어떠한 방식으로든 '투자'라는 행위를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