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프라 뜻, 경제활동을 위한 기초시설, 사회간접자본(SOC)과 동의어

에버단단 2023. 3. 17.

인프라 뜻, 경제활동을 위한 기초시설, 사회간접자본(SOC)과 동의어

인프라-뜻-용어설명-섬네일
인프라 뜻, 경제활동을 위한 기초시설, 사회간접자본(SOC)과 동의어

인프라의 정의

인프라라는 말은 영어 단어 산업의 구조물과 기반을 의미하며, 영어 단어 'Infrastructure'의 준말로 자주 통용되는 말이다.

 

주로 '사회적'이라는 수식어가 붙어 따라다니는데, 인프라의 속성 자체가 누군가의 소유물이 아니라 국민의 세금으로 정부가 건설하여 공유물의 속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시설들은 도로, 항만, 철도, 공공기관, 하수도와 같은 시민의 삶과 경제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기본적인 시설들이기 때문이 '사회기반시설'로 직역되기도 한다.

 

즉, 인프라는 SOC(사회간접자본, Social Overhead Capital)라고 부르기도 하며, 거의 동의어라고 이해하면 된다.

 

 

사회간접자본-SOC

 

 

인프라의 역할과 중요성

인프라는 일상생활에 필요하고 생산활동에 기초가 되는 공공재이다.

그래서 인프라가 없으면 인구가 모여 살기 어렵거나 경제활동이 안되므로, 어떤 지역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인프라부터 개발을 해야 한다.

 

인프라는 '지역', '지구', '산업' 같이 큰 규모의 경제활동을 위한 단어와 따라붙는다.

그만큼 인프라에 대한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도시 인프라가 잘되어 있다면 사람들은 도시로 몰려들어 경제활동을 하게 된다.

 

SOC-연상되는-이미지

 

 

 

어떤 종류가 있나?

인프라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기본적으로 교통, 통신, 에너지, 상하수도 인프라로 구성된다.

 

철도, 도로와 같이 탈것이 움직여야 사람이 물건을 나를 수 있으며, 통신망이 갖춰져야 전화를 하거나 인터넷으로 주문접수 및 발주를 할 수 있다.

 

에너지 인프라는 발전소나 배전망을 말하는데, 전기는 산업에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단위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상하수도는 말 그대로 수자원을 끌어올 수 있는 배수관이다. 이것들은 모두 민간에서 하기 어려운 큰 규모의 시스템이기 때문에 정부적 차원에서 대규모의 자금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발전소-SOC-이미지

 

 

 

그래서 인프라는 '투자'라는 단어와도 항상 따라다닌다.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드는 비용은 나중에 이 인프라를 사용하게 될 주체에게 꾸준히 라이선스로 인한 이익을 창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한민국에서 걷는 세금의 대부분은 인프라 구축과 유지에 사용된다.
그만큼 인프라는 나라 경제에 중요한 부분이 아닐 수 없다. 

 

미래 인프라 산업의 방향

많은 전문가들이 미래의 인프라는 스마트시장, 5G 네트워크, 그리고 인공지능(AI)과 같이 데이터와 관련된 새로운 시장이 열릴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관련된 분야의 산업과 투자방향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정보에 귀를 기울이면 좋을 것 같다.

 

인프라 뜻과 이 정도는 함께 알아두자

 

SOC 뜻, 한방에 이해하기

SOC 뜻, 한방에 이해하기 SOC란? 경제 관련 기사를 읽다 보면 가끔 "SOC"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사회간접자본'이라고 불리는데, 말이 좀 어렵다. 그러나 어렵게 생각할 것 없다. SOC는 'Social Overhead Cap

danbi-zoa.tistory.com

 

공공재 뜻, 모든 사람이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

공공재, 모든 사람이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는 자원 공공재란? 공공재란 모든 사람들이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든 공공의 자원을 뜻한다. 공공재는 모든 사람들이 그 혜택에서 배제받지

danbi-zoa.tistory.com

 

공유지의 비극 뜻, 한방에 이해하기

공유지의 비극 뜻, 한방에 이해하기 공유지의 비극 심리학, 경제학 관련 분야를 공부하다 보면 한 번쯤은 접하게 되는 용어이다. 공공자원인 삼림, 공기, 계곡 등을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개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