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MO 뜻, 바이오제약을 위탁생산하는 서비스와 기술, 제조설비 투자여력을 아껴 연구개발에 에너지를 쏟자.
CDMO 정의
CDMO는 항체 바이오 의약품 위탁생산을 의미하는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과 위탁개발자체를 의미하는 CDO(Contract Development Organization)을 함께 합쳐 부르는 말로, 계약을 체결하여 의약품 기술을 위탁생산해 주는 서비스와 그러한 기술 서비스로 이루어진 시장을 의미한다. 반도체를 설계하는 회사가 있으면 그 반도체기술을 실제 현장에서 실현시켜 주는 위탁생산 회사를 우리가 파운드리 업체라고 부르는데, 시장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파운드리 시장이라고 부를 정도이다. CDMO도 마찬가지다. 의료, 헬스케어 시장이 점점 각광받기 시작됨에 따라 글로벌 CDMO 시장의 규모도 점차적으로 커지고 있다. CDMO 산업의 성장은 바이오의약품 신약 증과 와 글로벌 제약사들의 비용, 효율성 증대목적으로 생산시설 및 제조프로세스를 갖추기 위한 일종의 라이트 쇼어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CDMO는 코로나 팬데믹을 지나면서 백신기발에 대한 수요 급증, 의료기술에 대한 수요와 시장점유율이 확장되기 시작하면서 더더욱 주목받기 시작했다. 그래서 새로운 먹거리 시장으로 떠오르는 아주 유망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제약 바이오 기업들이 CDMO사업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딱 하나로 종결된다. 생산 외주화를 통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다지고자 하는 것이다. 바이오기업들은 기존에 자신들의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생산설비를 구축해야만 했는데, CDMO로 생산가동을 하게 될 경우 설비에 대한 부담이 사라지고 R&D과 임상시험에 많은 자본을 투여할 수 있게 된다. 어떤 출력물을 뽑아야 할 때, 프린터를 직접 사는 것보다 근처 문방구에 가서 낱장으로 200~300원을 주고 프린트를 하는 게 더 효율적인 것처럼 말이다. 최근 CDMO업계는 몸집을 키워 제조시설을 추가하기 위해 투자를 하기 시작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