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수리 뜻, 물건 값을 빼고 거슬러 받는 돈, 일정한 수에 차고 남은 수량

에버단단 2023. 10. 13.

우수리-뜻-용어설명
우수리 뜻, 물건 값을 뺀 거슬러, 잔돈의 의미

우수리는 떼고 주세요, 잔돈을 받을 때 쓰는 말의 의미

우수리는 사전적으로 값을 치르고 남은 돈, 숫자에서 몬 값 이외에 끝자리에 붙는 약간의 수량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쉽게 말해 어떤 수량에서 일부를 빼고 남은 부분을 의미한다. 즉, 우리가 흔히 '거슬러'라고 말하는 잔돈과 동의어이다.

나머지와 우수리의 차이점

우수리라는 말을 어떻게 사용하느냐에 따라 조금 다르다. 우수리는 나머지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도 있지만, 주요가 되는 금액 이외에 자투리 부분을 의미하는 말이 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나머지와는 의미가 달라진다. 그래서 나머지와 구분해야 한다. 아래 예시를 보자. '우수리는 떼고 주세요'라는 말은 받을 돈이 1만 100원이라면, 100원은 떼고, 1만 원만 달라는 의미가 된다. 즉, 1만 원은 몬 값이 되고, 100원은 우수리가 된다. 나머지는 거슬러와 같이 정말, '남은 값'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말이다. 우수리는 남은 값의 의미도 가질 수 있고, 자투리 부분도 가질 수 있다.

우수리와 비슷한 순 우리말 '에누리'

'에누리'라는 말도 있다. 에누리라는 말은 종종 일본어로 오해받는 경우가 있지만, 사실 순우리말이다. 일본말이라고 생각해서 순우리말을 안 쓰고 되려 '세일'이나 '할인'이라는 말로 쓰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사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에누리라는 말을 일본어라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으니 진리를 아는 판매자 입장에서도 막상 '에누리'를 쓰라고 할 수도 없다. 소비자에게 에누리가 일본말이 아니라 순우리말이에요'라고 그때그때 설명을 하지 않으면 오해가 남게 되지 않을까? 애매하다.

 

함께보면 도움 될 만한 글

2023.09.26 - [알뜰상식] - 거드름 부리다 뜻, 의미

 

거드름 부리다 뜻, 의미

거드름 부리다 뜻, 낯선 용어 의미 바로 알기 간혹 가다 '거드름 부리다', '거드름 부리다'라는 말을 만나게 되는 경우가 있다. 거드름이 아닌 거드름이 표준어이며, '거들먹거리다'가 아닌 '거들

danbi-zoa.tistory.com

2023.03.28 - [알뜰상식] - 마이동풍 뜻, 부드러운 봄바람이 말에 귀를 스칠 때

 

마이동풍 뜻, 부드러운 봄바람이 말에 귀를 스칠 때

마이동풍 뜻, 부드러운 봄바람이 말에 귀를 스칠 때 마이동풍이란? 마이동풍이라는 사자성어에서 '마이'는 말의 귀를 말한다. '동풍'이란 동쪽에서 부는 바람, 즉 봄이 오면 부는 봄바람을 말한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