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배양육 단점, 상용화 반대 입장

에버단단 2023. 12. 6.

배양육-단점-상용화반대입장
배양육 단점, 상용화 반대 입장

배양육이란?

배양육은 대체로 지속 가능성과 환경 친화성을 강조하는 대안적인 단백질 공급원으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다. 실제 돼지나 소를 잡아서 육고기를 얻는 것이 아니라, 실험실이나 랩에서 세포를 배양한 것으로 고기를 만드는, 즉 인공적으로 생산하는 고기가 바로 배양육이다.

 

고기가-공장에서-제조되고-있는-모습
배양육이란 무어일까?

 

곡물과 같은 식물을 키워서 야채나 과일을 얻는 것처럼 고기도 동일하게 키워서 얻을 수 있다는 점이 배양육의 가장 큰 특징이다. 현재 많은 개발과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는 시점이고, 실제로 상용화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기에 여러 가지 문제로 갑론을박이 일고 있지만 대표적으로 해소되어야 할 아래 3가지 문제점이 있으며, 이를 해결해야만 배양육의 상용화 단계로 넘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전성 문제

유전자기술을 사용해 세포를 배양하고 세포를 증식시키는 방식으로 고기를 만드는 것이다. 하지만 자연적으로 가축을 키워 얻는 것이 아니라, 실험실과 랩실내에서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고도의 배양기술과 관리기술이 필요한 산업이다. 사람이 섭취할 고기를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안전성 또한 중요하다. 물론 관련 인증기관을 통해서 안전성이 검증된 배양육들이 유통될 것이지만, 수만 년 전부터 검증된 자연가축이 아닌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정말 확실히 안전한가?'에 대한 의구심을 가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배양육-안전성-문제

경제적으로 이익 효과가 있는가의 대한 검증

배양육에 찬성하는 입장은 탄소배출 효과가 있다고 주장한다. 가축을 키우는것 자체만으로도 탄소배출이 발생한다고 하는데, 배양육을 이용하면 가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하지만 이는 아직 검증이 더 필요하다. 배양육을 배양하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의 총량도 무시 못할 정도로 크다고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매스실린더-속-고기

 

또, 기술의 초반부이기 때문에 배양육 관련된 뭔가를 본격적으로 하려면 투자비용이 상당히 클 것이다. 완전한 상용화가 되기 전까지는 비용적인 문제가 한동안 이슈가 될 것이다. 이런 비용적 문제는 가격에 그대로 반영되어 양극화현상을 부추길 수도 있다.

 

배양육-제작-일러스트

 

기술적 한계

배양육을 생산하는 것 자체도 일단 유전공학이라는 어려운 기술이 들어가야하는 일이다. 또한 배양육에 천연고기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분을 공급해 줄 수 있으며, 천연 고기의 맛과 질감을 그대로 가져올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계속해서 나올 것이다. 고기라는 것은 인류의 역사에서 식탁에 항상 놓여왔던 단골 음식인데, 배양육이 상용화가 되기 위해서는 천연고기보다 맛(식감 포함)과 영양분이 잘 함유되어 있는, 즉 좋은 퀄리티를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배양육과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유전자 재조합 원리, 특징 및 기술 적용 사례

유전자란 무엇인가?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란, 말 그대로 유전자의 핵심요소인 DNA 분자의 재조합 과정을 의미한다. 생물체의 유전자를 입맛대로 자르거나 붙여서 새로운 유전자를 만들 수 있는

danbi-zoa.tistory.com

 

 

GMO 뜻, 유전자재조합식품 식품종류, 안전성과 유해성 논란

GMO 뜻, 유전자 재조합 식품, 안전성과 유해성 논란 GMO란? GMO는 유전자변형식품(유전자재조합식품)을 뜻하는 말로,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GMO)의 약칭이다. 어떤 생물체가 포함하고 있는 유전자 중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