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기 배당금 의미,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할 수 있을까?

에버단단 2024. 8. 20.

분기 배당금 의미

요즘 부쩍 배당금에 관심이 많아졌죠. 내 자본이 놀지 않고 일하게 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이면서도, 직관적으로 투자를 하는 느낌을 받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배당주 투자인데요. 그런데 분기 배당의 의미와 구조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서 이번 글에서 한번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분기배당금이란 용어 설명 썸네일
분기배당금이란?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 배당관련 용어 총정리한 포스팅 공유드립니다.

 

 

 

분기 배당금 뜻

 

분기 배당금은 말 그대로 '분기 마다' 배당을 주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1년은 2개의 '반기'로 나뉘고, 4개의 '분기'로 나뉘게 되는데요. 1월부터 3월까지를 1분기, 4월부터 6월까지를 2분기, 7월부터 9월까지를 3분기, 10월부터 12월까지를 4분기라고 부릅니다. 

 

국내 주식들은 대부분 12월에 '기말배당'이라는 명목으로 12월 말 주식을 들고 있는 주주들을 대상으로 내년 4월에 직년 회계연도 모든 재무상태를 결산 후 배당금을 지급하는 게 관례적이었죠. 하지만 최근에는 배당금에 대한 인식이 중요하게 자리 잡기 시작하면서, 주주환원, 투명한 자금운용, ESG 경영 등의 트렌드를 기반으로 배당금을 빈번하게 지급하는 쪽으로 운영방침이 조금씩 변경되고 있습니다. 

 

과거 대한민국이 압축성장하던 시기에는 투자자들이 돈을 넣기만 하면 원금이 함께 올랐기 때문에 굳이 분기 배당금을 주지 않더라도, 주주들의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었는데요. 요즘은 배당수익률이 조금은 나와줘야 그래도 투자 유치가 되는 듯 합니다. 왜 그런지 이유가 궁금하실 텐데요. 

 

 

하늘높이 솟은 빌딩
분기 배당금 뜻

 

내가 배당주 투자를 좋아하는 이유

 

왜 하필 배당주인가?

( 성공하는 투자는 따로 있습니다 )

 

 

 

 

미국 주식과 비교되기 시작한 한국 주식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 들어보셨나요? 

한국 국경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한국 주식이 평가절하된다는 의미입니다.이 말씀을 제가 왜 드리는가 하면, 미국 주식 문화에 비해서 상당히 뒤처져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제가 미국을 무작정 찬양하는 사대주의자는 아닙니다. 미국의 주주환원시스템은 상당히 잘 되어 있습니다. 곧 투자자 개인한테도 이득이라는 겁니다.

 

일단 일반적인 개별주들은 배당을 줬다하면 분기별로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배당락도 배당급지급일 전 한 달쯤에만 들고 있으면 한 달 뒤 바로 배당이 나옵니다.

쉽게 말해 국내는 대부분이 기말 배당금이나, 해외는 기본 셋팅이 분기 배당금 정책이라 빈번하게 배당금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시스템이 잘 되어있다라는 의미인데요. 

 

즉, 주주환원에 대한 인식자체가 한국과는 많이 달랐고, 역사적으로 투명하고 개인적인 문화가 주주들에게 우호적인 기업들만 살아남게 만든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종이에 그려진 그래프 연도별
미국주식과 비교되기 시작한 한국주식

 

한국이 바로 이러한 이유로 코리아 디스카운트 논란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것인데요. 

코리아 디스카운트 뜻이 자세히 알고싶다면 아래 참고 부탁드립니다. 

 

 

코리아 디스카운트, 대한민국 주식이 저평가 될 수 밖에 없는 핵심 원인

코리아 디스카운트란? 대한민국 주식이 저평가될 수밖에 없는 핵심 원인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는 주식시장에서 “대한민국에 위치하고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본래 펀더멘탈과 잠

danbi-zoa.tistory.com

 

국내주식과 미국주식 무슨 차이?

국내주식은 아직까지 삼성, SK와 같은 일부 대기업들만 분기 배당금 제도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식에 투자하고 배당금을 챙기려는 투자자들이 많아졌기 때문인데요.

 

단타로 주식을 거래하며 일확천금을 노리던 과거 주식시장과는 온도차가 확연히 나기 시작했습니다. 코로나 이후 서학개미 운동을 통해서 똑똑해진 개미투자자들은 실제로 성장가능성, 잠재력이 있는 회사들에 돈을 묵혀두고 진득하게 배당을 받기를 선호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시스템 때문인지 배당금을 빈번하게 주는 것 자체가 투자자로 하여금 상당한 메리트가 된 것입니다. 

 

한국 기업 가야 할 길이 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당금을 빈번하게 지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회사는 아직까지 대기업들 뿐입니다.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것 자체도 일단 쉽지가 않구요. 기존 결산시스템을 약간씩 뜯어고쳐야만 분기배당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향후에는 투자유치를 위해서라도 분기배당시스템이 도입되지 않으면 국내, 해외 투자자들로부터 한국기업들의 메리트는 점점 사라져 갈 우려가 있을 듯합니다. 

 

제가 배당주를 선호해서가 아니라, 실제로 시장이 그렇게 흘러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를 인지한 일부 기업들은 배당수익률을 높이고, 배당정책을 변경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정부에서 최근 실시하고 있는 기업 벨류업 정책의 일환도 코리아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장기적인 변화를 도모하자는 있는 것이죠. 

 

 

지폐 100달러
코리아디스카운트 주주환원 정책변화로 시도해보자

 

분기 배당금 마무리

지금까지 분기 배당금 의미를 제 생각까지 녹여 설명드렸는데요. 

요약하면, 분기 배당금은 1년에 4번 나오는 배당 시스템을 의미하는 것이며, 아직 국내 기업들은 분기배당보다 기말배당이 더 많습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분기 배당금이 일반적이다라는 점 알아두시면 됩니다. 

 

이제 미국주식이 일반적인 주식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과거 무역시장으로 따지면 우리나라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되어있는 기업들은 전 세계 기업들과 경쟁을 해야만 하는 상황입니다. 

 

아무리 양도세를 면제해주고, 해외주식 세금을 높인다고 하더라도, 장기적으로 우상향하는 기업에 투자하고자 하는 심리는 변하지 않을 것입니다. 세금을 올려봐야 오히려 더더욱 차익을 실현하지 않고, 묵혀두며 세금을 덜 내기 위한 방법들을 고민하며 자본이탈을 극대화시킬 뿐입니다. 

 

하루빨리 국내기업들이 분기배당과 같은 주주친화적인 정책을 통해서 균형잡힌 성장과 배당을 할 수 있길 바랍니다.

 

물론 아마존과 구글처럼 확실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업들이라면 상관없지만, 내수시장에서 어느 정도 profit이 발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를 가진 기업들은 s&p500 시장 수준의 배당수익률정도 (약 1.4% 수준)은 지급을 할 수 있도록 배당정책을 바꾸거나, 혹은 배당빈도를 늘려 투자자를 모으는 편이 코리아디스카운트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이 아닐까 생각해 봅니다.

 

물론 이것은 제 개인적인 견해일 뿐, 정답은 아닙니다. 

사람들이 많이 찾는 필수 상식

 

주식 모으기, 토스 증권으로 자동화 하자

토스증권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주식투자에서는 내 의식을 최대한 자제하고, 자동화시키는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 어쩌면 매수매도 측면에서 상당히 유리할 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

danbi-zoa.tistory.com

 

토스 주식계좌 개설 방법 정리, 자녀 주식계좌 만들기

토스 주식계좌 개설방법 정리최근 근로소득만으로는 불경기에 버티기 어렵다는 인식들이 생기면서 주식시장에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많아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분들이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

danbi-zoa.tistory.com

 

DPS 의미, 주식 한주를 보유 할 때 받는 배당금의 액수

DPS 의미, 주식 한주를 보유할 때 받는 배당금의 액수 DPS란? 안녕하세요~ 경제용어 한방에 이해하기 시간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용어 중에서도 주식의 배당과 관련된 용어, 바로 DPS에 대

danbi-zoa.tistory.com

 

 

 

댓글

에버단단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