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상식5

토스 행운퀴즈 정답 6월 셋째주 풋옵션 문제, 정답 빠르게 확인하기 토스행운퀴즈 정답 궁금하신분들이 많으실텐데요. 토스의 혜택탭에서 매주 경제문제를 발간하여, 금융소비자들의 경제지식을 되찾아주는 혜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김없이 매주 찾아오는 토스의 경제퀴즈 문제 정답을 맞추고 혜택을 받도록 도와드리기 위해서 깔끔하게 정리해드리는 시간을 가져볼까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토스에 주식모으기 기능이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저는 이걸로 주식을 꾸준히 모아가고 있는데요. 내 통장에서 돈을 빼가는 것이 은행, 카드사인것은 생계를 위해서는 어쩔수가 없는 것이죠. 하지만, 만일 '미래의 나'가 내 통장에서도 돈을 빼간다고 하면 그것도 기분이 나쁠까요?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토스모으기 기능은 실제로, 나를 통제하는 가장 쉬운 방법이기도 합니다. 아래 포스팅에서 자세하게 설.. 주식투자 2024. 6. 18.
테셋 뜻, TESAT 국가공인 종합경제이해력 검증 시험 테셋 뜻, TESAT 국가공인 종합 경제이해력 검증 시험 테샛이란? 테샛은 한국경제신문에서 주관하는 공인 경제이해력 검증시험을 말한다. 테샛은 얼마만큼 경제의 원리를 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시험이며,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경제학 기초지식과 경영상 식이 늘 수 있도록 학습을 유도하여 교육활용가치로도 뛰어나다. 기업체 인적성 시험과 같이 논리력과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도 많이 출제되어 경제학 전공자가 반드시 유리한 시험도 아니다. 문제의 흥미도와 완성도 또한 높기로 유명하다 . 테샛 자격증은 기능사, 산업기사, 기사 자격증과 같이, 민간단체에서 주관을 하지만 시험의 효용성이 크므로, 국가공인자격시험으로 인정받고 있는 시험 중 하나이다. 따라서 입시와 취업에도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시험과목은 경제이론.. 경제관련 2022. 9. 26.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오늘은 EV/EBITDA (이브이 에비따)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재무제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녀석이긴 한데, 모르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지금부터 짧고 빠르게 핵심만 설명드리겠습니다 EV / EBITDA 가 뭐야 도대체?! EV라는 녀석에 다 EBITDA라는 값을 나눈 것 같긴 한데.. 보기만 해서는 뜻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나씩 살펴봅시다. EV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이며, 기업가치를 의미하는데요! 여기서 기업 가치란 기업의 시가총액에 순부채를 더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그냥, 기업이 경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총합입니다. 이 기업 전체의 경영권을 사고 싶다(인수)고 하면 이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고 봐도.. 경제관련 2021. 6. 20.
공동대표 각자대표, 결재권한 부여방식에 따라 구분 공동대표 각자대표, 결재권한 부여 방식에 따라 구분 오늘은 주식회사의 대표권을 부여하는 방식에 대해 짧게 알아보겠습니다! 주식 관련 뉴스를 접하다 보면 각자대표, 공동대표와 같은 단어를 듣게 되는데요. 정확히 무슨뜻인지 몰라서 난처하셨던 적이 있으시다면, 오늘 한방에 이해하도록 알려드리겠습니다. 공동대표, 각자대표의미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회사는 사장님이 1명입니다. 그래서 거의 모든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분이기도 하지요. 그리고 주식회사의 경우라면, 이사회나 주식 총회에서 주주들에게 추천받아서 뽑힌 사람을 대표이사라고 하는데요. 학교에서 반장 뽑히는 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최대주주가 대표이사가 되지요 그러니까, 대부분의 회사에서는 사장이 곧, 대표이사라는 것이죠? 어!?.. 경제관련 2021. 3. 24.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의미 고소득층 혹은 대기업의 성과가 좋아지면, 아래쪽으로 연쇄작용을 일으켜 저소득층에게 이익이 분배되고, 결국 경제 이익이 향상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트리클다운(Trickle-down)이라는 말은 위에서 물방울이 뚝뚝 떨어지는 것을 연상시키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경제 흐름이 생기는 것도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이라고 말한답니다. 다른 말로는 "낙수효과"라고도 불리죠.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은 대기업과 고소득층부터 성장시키면, 자연히 관련된 1차, 2차 산업이 발전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이론이에요. 예를 들면, 대기업에 매출실적이 오르면, 장사가 잘된다는 것이니, 더 많은 일자리가 필요하겠죠?? 그.. 경제관련 2020.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