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공제 뜻, 연봉제와 무슨 차이가 있는가?

에버단단 2022. 8. 23.

연공제 뜻, 연봉제와 무슨 차이가 있는가?

연공제란,경제용어설명-시사상식-섬네일
연공제 뜻, 연봉제와 무슨 차이가 있는가?

연공제, 연공급제란?

연공제는 연봉제와는 다르게 개개인의 학력 자격 연령 등과 같이 근속연수만을 감안하여 임금 수준을 결정하는 임금체계이다. 임금과 직급은 이에 비례해서 자동으로 올라간다는 특성이 있다.

물론 연공제가 아닌 연봉제의 경우에도 근속연수 등이 반영되지만 보통이나, 연봉제를 채택하는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KPI 등을 통해 직원들의 실적을 최대한 반영하려고 하고 있다. 그러나 연공급제의 경우 근속연수가 많아짐에 따라 기준급이나 연봉 인상률 등이 높아진다. 쉽게 말해 나이가 많으면 많을수록받아가는 것도 많아지는 급여체계를 말한다.

연공급의 가장 큰 문제는 직원들의 근로의욕 감소라고 할 수 있다. 근속연수가 오래된 직원일수록 의욕이 떨어짐에도 급여 수준은 계속 오르기 때문에 위기의식을 갖지 못하고 근로의욕 저하로 이어진다. 이런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임금피크제 등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고, 호봉제와 같은 연공제를 폐지하려는 법적 절차를 추진 중에 있으나 기존 장년층 근로자들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그러나 능력과 업무실적 위주로 급여체계가 재평가되지 않는다면 향후 글로벌 기업과 경쟁해서 뒤처질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연공제의 한계

주언규 신사임당과 신동훈 공동 저서 '인생은 실전이다'에서는 나이라는 것은 결국 '지구가 태양을 돈 횟수'를 숫자로 표기한 것 밖에는 되지 않는다고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이라는 수치가 그 사람을 평가할 수 있는 잣대가 되어서는 안된다라는 것이다. 오히려 나이가 먹었으면, 그 만큼 경험하고 배울 기회가 많이 주어졌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나이라는 것은 되려 '핸디캡'이 되는 것이 논리적으로 맞다. 그런데 지금은 반대가 되어있다.
조선시대와 같이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경험이 쌓이는 시대가 이제 지났다. 최첨단 정보화 시대인 지금은 시간뿐만이 아니라 창의성과 노력이라는 변수가 더해져 그 사람의 실력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연공제와 함께보면 도움되는 글

2021.10.23 - [자기계발] - 직장인이 야근을 해야 하는 이유.

 

직장인이 야근을 해야 하는 이유.

직장인이 야근을 해야 하는 이유. 월급쟁이 직장인 대한민국에서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들은 십중팔구 야근과 씨름을 한다. 직장인들이 야근을 해야 하는 이유가 도대체 뭘까? 얼핏 생각하면 "일

danbi-zoa.tistory.com

2021.07.27 - [경제용어] - 상여금 성과급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상여금 성과급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상여금 성과급 차이, 한방에 이해하기 상여금과 성과급? 상여금과 성과급에 대해 혼란스러워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일단 헷갈려들 하시는 이유는 공통점이 있기 때문일 텐데요. 상여금과 성

danbi-zoa.tistory.com

2021.12.19 - [경제용어] - 통상임금 뜻, 한방에 이해하기

 

통상임금 뜻, 한방에 이해하기

통상임금 뜻, 한방에 이해하기 통상임금이란? 통상임금이란 기업이 근로자에게 근로에 대한 대가로 정기적, 일률적으로 지급하는 금액이다. 통상임금은 기본급 이외에도 회사가 정기적으로 지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