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외순자산 뜻, 국가의 노후대비는 얼마나 되어 있는가

에버단단 2022. 5. 24.

대외순자산 뜻, 국가의 노후대비는 얼마나 되어 있는가

대외순자산 뜻

대외순자산이란?

대외순자산은 한정부, 기업, 개인이 해외에 보유하고 있는 대외 자산액에서 대외부채 잔액을 차감한 것으로, 경상수지 흑자를 쌓아 모아둔 돈을 해외에 투자하여 갖고 있는 자산의 총액을 의미한다. 해외에서 번 돈 중에 쓸 돈 쓰고 잘 남겨진 종잣돈이다. 그래서 일국의 국제수지가 기업의 현금흐름표라고 한다면, 대외순자산은 대차대조표라고 할 수 있다.

대외에 묶여 있어 내수시장과 관계없이 자산의 역할을 하는 것들이 얼마나 되느냐를 물었을 때, 대외순자산을 보면 되는 것이다.

대외순자산이 양수라는 말은, 해외에 있는 자산으로부터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이자나 배당을 받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대외자산보다 대외부채가 더 커 순자산이 음수라면 오히려 채무가 있다는 것으로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경우이다. 일본의 경우 이 자산의 규모가 압도적으로 세계 1위이다.

오랜 기간 일하고 자산을 많이 모아 은퇴한 할아버지를 연상하면 된다. 그래서 해외 여기저기 부동산도 많이 보유하고 있고, 채권도 어마 무시하게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자와 배당액으로만 벌어들이는 돈이 거의 2000억 달러가 된다.

즉, 노후준비가 완전하게 되어 있는 옆집 할아버지인 셈이다. 우리나라는 일본과 같은 인구구조로 빠르게 근접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정작 노후준비는 하나도 되어있지 않다. 무슨 수를 써서라도 자산을 만들어내지 않으면 일본보다 더 큰 경제 침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하다.

 

함께 보면 좋을 글

2022.04.08 - [경제용어] - 대외의존도 개념, 해외 수출, 수입량에 의존하는 정도를 살펴보자

 

대외의존도 개념, 해외 수출, 수입량에 의존하는 정도를 살펴보자

대외의존도 개념, 해외 수출, 수입량에 의존하는 정도를 살펴보자 대외의존도란? 경제용어에서의 대외의존도는 어느 국가의 해외와의 거래량이 그 나라 경제의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danbi-zoa.tistory.com

2021.02.20 - [경제용어] - 외환보유액 개념, 경제위기에 대비해 마련해 둔 비상금

 

외환보유액 개념, 경제위기에 대비해 마련해 둔 비상금

외환보유액 개념, 경제위기에 대비해 마련해 둔 비상금 외환보유액이란? 외환보유액은 정부가 쟁여놓은 외국돈을 일컫는 말입니다. 그리고 "외환보유고"라고도 하더군요. 이렇게 쟁여놓는 외국

danbi-zoa.tistory.com

2023.02.07 - [경제용어] - 와타나베 부인, 경제용어 일본 흔한 성씨, 엔 캐리 트레이드 투자자를 일컫는 말

 

와타나베 부인, 경제용어 일본 흔한 성씨, 엔 캐리 트레이드 투자자를 일컫는 말

와타나베 부인, 경제용어 일본 흔한 성씨, 엔 캐리 트레이드 투자자를 일컫는 말 와타나베 부인이란? 와타나베는 일본의 성씨 중 하나이다. 와타나베는 일본에서 흔한 성씨 중 하나로, 금융가에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