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사채4

은행채 5년물, 금융채와 무슨 차이? 은행채, 금융채 개념 기본적으로 채권이라는 것은 채권 앞에 붙는 단어에 따라서 채권을 발행한 주체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국채는 국가가 발행한 채권 회사채는 회사가 발행한 채권, 은행채도 마찬가지이다. 은행이라는 단어가 붙었으므로 은행에서 어떤 필요와 목적에 따라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한 채권이 된다. 은행채 5년물이라고 하면, 은행에서 발행한 만기 5년짜리의 채권을 의미한다. 은행채는 금융채라는 좀 더 범위가 넓은 카테고리 안에 포함되어 있는 채권 중 하나이다. 금융채는 은행, 금융투자회사, 리스회사, 신용카드회사 등 금융기관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행하는 채권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은행채와 같은 금융채가 중요한 이유는 자금조달비용지수를 반영하여 가계대출 상품들의 금리가 결정되기 때문이다... 경제관련 2023. 12. 15.
전단채 뜻, 개념 전자단기사채 채권 투자 방법, CP와의 차이 전단채란?전단채는 전자단기사채를 줄임말로, '전자적으로 발행되는 단기 회사채'라고 이해하면 쉽다. 옛날 인터넷이나 ICT와 같은 기술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 은행예금이 아닌 형태로 자금을 굴리기 위해서는 기업어음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무조건 종이, 즉 지류의 형태로만 발행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기술발달로 온라인에서 앱만 다운로드하여 신분증으로도 간편하게 계좌를 개설할 수 있게 되었고, 전자적으로 어음을 발행하거나 하루만 넣어도 이자가 생기는 채권투자가 가능해졌다. '전자'는 바로 이러한 의미 해서 붙게 되었다. 다시 말해, 돈이 필요한 회사는 1년 미만의 단기자금 채권을(단기사채) 종이가 아닌 전자의 형태로, 발행 유통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구조에 기반하여 판매되는 상품을 전단채라고 한.. 경제관련 2023. 11. 27.

뱅크론 뜻, 한방에 이해하기 뱅크론 뜻, 한방에 이해하기 뱅크론이란?뱅크론(Bank loan)이란 은행 대출 채권을 기반으로 하는 '펀드'를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뱅크런(Bank run)과는 발음이 비슷해 헷갈릴 수 있으나, 뱅크런은 은행의 도산을 의미하는 것이다. 뱅크런과 뱅크론은 엄연히 다른 것이므로 착각하지 않길 바란다. 여기서 잠깐! 뱅크런의 의미가 궁금하다면? 뱅크런 의미 쉽게 알아보자 >>     뱅크론이 만들어진 이유뱅크론은 은행이 회사에게 담보부 채권을 사들이고(돈을 빌려주고), 그것을 유동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든 상품이다. 그래서 뱅크론 채권의 수익률은 돈의 가격인 '금리'에 의해 움직이며 기준금리에 연동되는 구조이다.  금리가 오르는 시기에는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서 돈을 빼고 금리인상에 수혜를 볼 .. 경제관련 2022. 1. 25.
CB 뜻, 전환사채, 금융시사용어, 주식으로 전환가능한 옵션이 부여된 채권 CB 뜻, 전환사채, 금융 시사용어, 주식으로 전환 가능한 옵션이 부여된 채권 CB란 무엇인가? CB는 Convertible Bond의 준말로 전환가능한 채권을 말한다. 한국에서는 "전환사채"라고 불린다. 의미가 생소할 수도 있지만, 자세히 따져보면 별 것 아니다. 사채는 채권의 일종이다. 채권은 돈을 빌리는 쪽에서 발행하여 돈 받을 권리를 파는 것을 말한다. 채권을 산사람은 돈을 받을 권리가 생긴다. 그리고 그게 회사에서 발행한 채권이면 회사채, 줄여서 사채이다. 그럼 전환이라는 말이 붙은 '전환사채'는 무엇일까? 이 채권을 가진 사람은 일정한 조건이 되면 그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수가 있다. 즉 전환 가능한 옵션이 있는 사채가 바로 전환사채이다. 일반적으로 채권발행후 3개월이 지나면 주식으로 전환이 .. 경제관련 2021.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