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베타 뜻, 시장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

에버단단 2023. 11. 30.

베타-뜻-용어설명-섬네일
베타 뜻, 시장변동성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

베타 뜻, 주식에서 베타계수란?

베타 뜻은 평균적인 시장의 흐름대비 얼마만큼 큰 변동성을 보이는 가, 즉 평균대비 얼마나 벗어나는가를 통계학적 기준으로 산출한 값이다. 즉, 어떤 종목의 베타값이 높으면 시장의 추세 대비 주식의 민감도가 큰 것이고, 베타값이 낮으면 민감도가 낮은 것이다. 따라서 베타값을 통해 어떤 종목의 변동성이 높다, 낮다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베타는 일반적으로 기호 'β'로 표시된다. 이 기호는 그리스기호로 알려져 있는데, 통계학이나 수학 등의 물리량 분석 시에 많이 사용된다. 주식시장의 민감도도 어떻게 보면 통계학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물리학이므로 베타라는 기호로 표현한다. 해외 금융공학 석사급 되는 누군가가 개발해 낸 지표임이 틀림없다.

베타는 어디까지나 통계에 기반한 값

재미있는 것은 투자시에 베타값을 맹목적으로 믿어서도 안된다는 것이다. 과거의 누적된 통계에 기반해서 산출된 값이기 때문이다. 경제라는 복잡계에서는 당장 1초 뒤의 미래에 닥칠 일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하지만,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경우, 이론적으로 이 정도의 변동성을 지니고 있는 종목이 시장을 상승할 때 얼마나 상승할 것이다라는 것을 예측하고 분산투자를 계획해 볼 수 있다. 투자 포트폴리오를 설계할 때 기준이 필요할 것이고, 베타 값과 같은 종목특성의 고유 값은 투자설계 시 참고할만한 기준이 된다.

베타,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종목 선정시 참고할 수 있다.

공격적인 투자자의 경우, 베타지수가 높은 종목을 선정하는 것이 좋다. 베타지수가 낮은 종목에만 투자한다면 시장의 흐름과 거의 같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시장 참여자라면 일반적인(대다수, 누구나가 다 할 수 있는) 수익률을 내는데서 그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베타지수가 높으면 잠재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시장의 흐름이 좋아지면, 올라갈 여력을 훨씬 크게 받고, 기대감에 상승할 수 있다. 혁신주들이 보통 지니고 있는 특성이기도 하다. 하이 리스크 하이리턴인 셈이다. 반대로 보수적인 투자자, 연금식으로 자금을 안정적으로 불리기 원하는 투자자라면 위 사례와는 달리 베타계수가 낮은 종목에 투자하는 것이 낮다. 나이가 지긋이 드신 분들, 정년퇴직하신 분들 등등, 이 경우는 자산을 크게 불려 '자녀들에게 큰 목돈을 만들어 꼭 물려줘야지'라고 생각하는 케이스가 아니라면, 당장의 현금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안정적인 배당주 위주의 투자가 더 나을 수도 있다. 베타지수가 낮은 경우 일반적으로 시장과 동일한 흐름을 보이며 움직이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일정기간 통계를 낸 것이기 때문이다. 참고로 베타가 음의 값을 보인다면 시장의 흐름과 반대방향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베타 뜻 요약

지금까지 베타에 대한 내용을 간결하게 서술해보았다. 뜻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베타 값은 주식시장에서 어떤 종목이 시장의 변화에 따라 얼마나 민감하게, 얼마나 큰 변동성으로 반응하는지를 산출해 낸 값이다. 베타값이 크면 시장이 10만큼 올랐을 때, 20만큼 오르는 걸 의미한다(베타값이 2일 때), 반대로 베타값이 작으면 시장이 10만큼 올랐을 때, 5만큼 오르는 걸 의미한다(베타값이 0.5). 이는 반대의 경우에도 동일하다. 즉, 시장이 어떤 움직임을 보일 때, 이 종목이 얼마만큼 변화를 갖느냐가 곧 베타값의 의미가 된다.

경제학에서 가격탄력성이라는 개념이 있다.

경제학에서는 가격탄력성이라는 개념이 존재하는데 이 개념이 주식시장에서 베타와 비슷한 개념이다. 가격탄력성은 수요가 증가했을때, 혹은 공급이 증가했을 때, 가격이 얼마만큼 증가하고, 내려가느냐, 즉 수급의 정도에 따른 민감도를 파악하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시뮬레이션해볼 수 있다. 베타지수도 시장의 흐름대비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보이기 때문에 가격탄력성과 유사한 맥락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베타 의미와 함께 알아두면 도움 되는 글

2022.05.12 - [경제용어] - TTM 뜻, 미국 주식 직전 12개월의 벨류에이션

 

TTM 뜻, 미국 주식 직전 12개월의 벨류에이션

TTM 뜻, 미국 주식 직전 12개월의 벨류에이션값 비교 TTM이란? TTM은 Trailing Twelve Months 의 약자이다. 여기서 Trail이라는 단어의 의미는 '발자취 따위를 추적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그래서 어떤 벨류

danbi-zoa.tistory.com

2021.08.14 - [분류 전체보기] -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EV/EBITDA, 10초만에 이해하기 제무재표를 살피다 보면 EV/EBITDA라는 지표를 볼 수 있다. 검색해보면 뜻이나 약어에 대한 설명은 잘 나와있는데, 읽어도 뭔말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짧게 몇문장으

danbi-zoa.tistory.com

2021.10.06 - [주식투자] - 미국 주식 용어 정리 (Summary편)

 

미국 주식 용어 정리 (Summary편)

미국 주식 용어 정리 (Summary 편) 미국 주식을 하다보면 용어가 참 난해하다. 가뜩이나 영어도 잘 못하는데, 주식에 영어까지 하려니 더 어려운 것 같다. 오늘은 미국주식을 하면 처음 기업개요(Sum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