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35

배당락 뜻, 한방에 이해하기 배당락 뜻, 한방에 이해하기 배당락이란 무엇인가? 어떤 주식의 주주가 되면, 2가지 권한을 부여받게 되는데요. 바로 의결권과 배당입니다. 우리는 배당이란 것을 눈여겨 봅시다. 배당이란 기업에서 자사의 주식을 보유한 주주들을 위해 순이익의 일부를 다시 분배하는 것을 의미하죠! 그러니까, "주주분들 덕에 회사가 이 만큼 성장했으니 성과의 일부를 드리겠습니다" 하는 것이죠. 배당을 주는것은 따지고 보면 기업의 의무는 아니에요. 기업들이 주주들에게 더 많은 투자금을 확보하기 위한 일종의 인센티브 같은 것이지요. 배당을 주면 많은 투자금이 몰릴 수 있으니까요. 배당을 안줘도 투자금이 잘 몰리는 성장가치가 있는 기업이라면, 굳이 안주는 경우도 많습니다 ㅎㅎ 이렇게 배당에 대해서는 많이들 들어보셨을 텐데요. 배당락일.. 2021. 6. 25.
코넥스 시장, 코넥스 거래 방법, 한방에 이해하기 코넥스 시장, 코넥스 거래방법, 한방에 이해하기 여러분 혹시 코넥스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코스피, 코스닥 같은 주식시장의 한 종류인데요. 요즘 주식시장이 떠오르면서 코넥스라는 용어도 가끔 등장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코넥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도록 합시다. 코넥스란? 코넥스는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코스피, 코스닥 시장에 뒤이어 2013년 7월에 처음으로 출범한 새로운 형태의 주식시장입니다. 코스피KOSPI)와 코스닥(KOSDAQ)과 마찬가지로 한국 거래소라는 곳에서 운영하는 시장입니다. 단, 코스피, 코스닥만큼 규모가 크지 않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 위주로 상장되어 있는 곳이지요. 코넥스는 왜생긴걸까요? 코스피, 코스닥시장에 상장 기준이 못 미치는 작은 규모의 기업, 즉 중소기업들을 지원하기 위해 생겼답.. 2021. 6. 25.
캐시우드의 초이스! ARKG ETF에 투자하자. 캐시우드의 초이스! ARKG ETF에 투자하자. 오늘은 ARK INVEST가 운용하는 ETF를 하나 더 소개해드릴까 하는데요. ARK INVEST는 공격적인 투자를 하는 액티브ETF 자산운용사로 유명합니다. 보통 다른 ETF들은 각 기업별로 가중치를 딱 정해놓고, 그대로 프로그램 매수를 하도록 "자동화"가 되어있지요. 이걸 패시브 ETF라고 하는데요. 패시브 ETF들은 초반에 시스템만 구축해놓으면 나중에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됩니다. 분기나 반기별로 리밸런싱 작업에 들어갈 때 빼고는 말이지요. 우리가 아는 대부분의 미국 ETF 상품들이 패시브 ETF입니다. 나스닥지수를 추종하는 QQQ나, S&P500을 추종하는 SPY가 바로 그런 것들이죠. 그러나 액티브 ETF는 사람이 개입하여 직접 종목별 가중치를 정하.. 2021. 6. 24.
패시브인컴, 꾸준히 들어오는 돈에는 힘이 있다. 패시브인컴, 꾸준히 들어오는 돈에는 힘이 있다. 만약 여러분이 블로그 수입을 통해 소액이라도 수입이 들어온다면 어떨것 같으세요? 간혹 블로그로 수입낸다고 하면, 이런말을 듣게 됩니다. "그렇게 매일 열심히 시간쏟아서 만든 수입으로 커피값이라도 나와?""그시간에 다른 생산적인 일이 더 많지않을까?"오늘은 패시브인컴이 갖는 위력에 대해서 한번 상기시켜드리고자 합니다.  패시브인컴 만원을 받기위해서는 얼마의 자산이 필요할까? 블로그에 매일 한시간정도 투자해서 한달에 만원이라도 수익을 낼수있다고 가정해보죠.1일 1포로 6개월정도 노력한다면 페이지 500뷰 정도까지는 충분히 만들수 있습니다. 물론 키워드를 잘 잡아야겠지만요.그러면, 한달에 만원이면 1년에 12만원이죠?요즘 예금 금리가 제로금리라 1% 정도 하죠... 2021. 6. 24.
장외주식38, 한방에 이해하기 장외주식38, 한방에 이해하기 최근 주식시장에 열풍이 일면서 장외주식은 과연 어떻게 거래할까 궁금증을 갖는 사람들이 많다. 세세한 거래방법을 소개하는 것은 아니지만 장외주식거래의 거시적인 플로우를 알아보겠다. 장외주식이란? 장외주식은 증권거래소와 같은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지 않은 비상장 기업의 주식을 말한다. 장외주식은 쉽게 말해 사람들에게 많이 알려져있지 않은 회사이다. 그래서 장외주식에 투자한다는 것은 투자자로 하여금 가치가 있는 회사를 싸게 매우 싸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이다. 코스닥, 심지어는 코멕스에도 상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정말 아무도 모르는 구멍가게일수도 있는 이 회사를 싸게 사서, 3년 혹은 5년뒤 IPO를 통해 상장사가 되어있다면 어떨까. 정말 흥미진진할 것이다. 그래서 투자에 재미.. 2021. 6. 23.
S&P500 지수에 동일비중으로 투자하자, RSP ETF S&P500 지수에 동일비중으로 투자하자, RSP ETF 오늘 시간에는 RSP ETF를 간단하게 소개드리고자합니다. RSP는 S&P 500 지수에 상장된 기업 분산투자 하는 ETF입니다! PROFILE ETF이름 : Invesco S&P 500 Equal Weight ETF 티커명 : RSP 투자방법: RSP는 S&P500에 있는 모든 기업의 주식을 동등한 가중치로 매수 (0.3%) 운용규모: 17.60B 운임수수료: 0.20% CHARTS SECTOR & HOLDINGS RSP 투자섹터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1~10위 기업들을 보시면 모두 생소한 기업일텐데요. S&P500 안에 편입되어있는 기업들을 대형주든 소형주든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가중치로 투자하기때문에, 사실상 1~10위 Ho.. 2021. 6. 20.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오늘은 EV/EBITDA (이브이 에비따)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재무제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녀석이긴 한데, 모르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지금부터 짧고 빠르게 핵심만 설명드리겠습니다 EV / EBITDA 가 뭐야 도대체?! EV라는 녀석에 다 EBITDA라는 값을 나눈 것 같긴 한데.. 보기만 해서는 뜻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나씩 살펴봅시다. EV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이며, 기업가치를 의미하는데요! 여기서 기업 가치란 기업의 시가총액에 순부채를 더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그냥, 기업이 경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총합입니다. 이 기업 전체의 경영권을 사고 싶다(인수)고 하면 이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고 봐도.. 2021. 6. 20.
정리매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정리매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주식시장은 새로운 뉴페이스들이 계속 입문하면서 도태되는 기업들은 퇴출당한다. 물갈이라고 해야 할까. 시장도 계속 순환 사이클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것이야 말로 자연의 순리이다. 봄에 핀 꽃은 겨울이 되면 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새로운 꽃이 핀다. 정리매매란? IPO를 하는 기업들이 있다면, 상장폐지가 되어 장외주식시장으로 빠져나가는 기업들이 있는 것이다. 정리매매는 상장폐지가 된 기업들의 주주가 상장폐지주식을 시장에 싸게 내다 놓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제도이다. 투자자 보호차원에서 만들어진 제도라고 이해하면 된다. 한순간에 그 기업의 주식이 날아가서 휴짓조각이 된다면 너무 억울하지 않겠는가. 적어도 '산다는 사람이 있다면 팔 수 있게끔이라도 해줘야 하는 것 아닌.. 2021.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