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24

CPI 뜻, 소비자 물가지수, 어떤 품목들이 포함되어 있을까? CPI 뜻, 소비자 물가 수준을 통해 경제를 전망하자 소비자 물가지수 CPI란 무엇인가?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경제뉴스를 보면 CPI 지표가 어떻다 저렇다 하는 이야기를 가끔 듣게 되는데요. CPI는 Consumer Price Index 의 약칭입니다. 해석해보면 그냥 소비자물가를 의미한답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바로 그 물가를 의미하는것이죠. 어려울 것이 없지요? 이 소비자물가지수라는것은 대한민국의 경우 통계청에서 지표를 산출해서 공시하고 있고요. 좀 더 엄밀히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비자 즉, 기업이 아닌 가계 단위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 가격 및 요금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예요. 그런데, 사람들이 소비하는 물건은 수도 없이 많지요. 그래서 대표품목이.. 2021. 5. 8.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KOSPI)란? 코스피지수 관련하여 난해했던 부분을 한방에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코스피 지수는 종합주가지수라고도 합니다. 국내의 전반적인 시장의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종합주가지수라고도 불리는 건데요. 다음 설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시장에 가면 과일을 팔지 않습니까? 시장에서 파는 사과 가격, 배 가격, 귤 가격은 날마다 시세가 오르락내리락하잖아요? 그런데 만약 저는 시장에 있는 과일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과일들의 등락을 다 더한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일 것입니다. 코스피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에는 무수히 많은 기업들이 있죠. 저마다 주가의 흐.. 2021. 5. 7.
P2P 뜻, 네트워크 사용자간 데이터 공유 방식, 탈중앙화 P2P 대출 뜻 , 플랫폼을 통한 직거래, 고위험 고수익 구조 P2P란? P2P는 Peer to peer의 약자이다. peer라는 것은 서버에 속해 있는 유저 개인을 의미한다. 그래서 P2P라는 말이 처음 탄생되었을 때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저와 유저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했다. 그러나 다양한 금융상품이 발달하고 핀테크와 같은 기술들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정보통신용어에 불과했던 이 P2P라는 용어는 경제용어로도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방식을 설명할 때 P2P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원래 대출을 일으킨다는 것은 시중은행이 민간이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P2P방식으로 대출을 하게 되면, 돈을 가진 개인이 다른 돈이 필요한 개인에게 돈을 빌려.. 2021. 5. 7.
DGRO ETF, 배당성장 우량주 지수 추종 ETF DGRO ETF, 배당성장 우량주 지수 추종 ETF 개요 ETF명: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 티커: DGRO 자산운용사: Blackrock iShres 운임 수수료: 0.08% 거래규모: $18.37B 현재 주가: $50.94 투자방법: 배당성장으로 유명한 미국 대표주의 지수를 추종. 실적 코로나19 이후로 꾸준히 반등하고 있는 미국 ETF이다. 몇 번 하락기를 겪긴 했어도 이 글을 적고 있는 시점에서의 현재 주가 상황은 매우 좋다. 미국의 저금리가 이어지는 이상은 계속 좋은 퍼포먼스를 유지할 것 같다. 이런 모멘텀으로 쭉 시장 장세가 이어졌으면 좋겠지만, 경기라는 것은 항상 변동 사이클을 보이기 때문에 언제 폭락의 신호가 올지 모른다. 항상 긴장하고 다른 방어 자산을 .. 2021. 5. 7.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최근 반도체 시장이 매우 활황인 것은 다 아는 사실이죠. 반도체는 설계와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원천기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시장에 제재를 가하기도 하고, 내수 반도체기술을 살려보고자 이런저런 정책들을 추진 중입니다.오늘은 반도체관련산업의 중요한 용어 2가지, 파운드리와 팹리스에 대해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파운드리, 팹리스 그게 뭔데?우리에겐 시간이 많지않으니 빨리 설명하고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반도체 산업의 큰 틀을 잡기 위해서는 딱 2가지 용어를 먼저 기억하고 가셔야 합니다. 바로 파운드리와 팹리스인데요.. 2021. 5. 7.
FCF 뜻,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개념,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의미 FCF란 Free Cash Flow의 약칭으로, 잉여현금흐름, 다른 말로는 미래 현금흐름이라고도 한다. 이 FCF라는 지표는 기업분석시에 살펴보는 항목 중에 하나인데, 기업의 현금흐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무제표에서 현금주의원칙으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해의 현금이 들어오거나 나간 것을 항목별로 보여준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원리로 쓰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시시각각 흐르는 현금의 양을 디테일하게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현금흐름표를 봐야 한다. 현금흐름표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FCF,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중에서 영업비용, 세금.. 2021. 5. 6.
REGL ETF, S&P선정 MidCap 400 중소형주 지수 추종 ETF, REGL ETF, 한방에 알아보기 개요 ETF명: ProShares S&P MidCap 400 Dividend Aristocrats ETF (REGL) 자산운용사: ProShares 운임 수수료: 0.41% 거래규모: $4.02B 현재 주가: 73.12$ 투자방법: S&P에서 선정한 Mid Cap 400 Index에 포함된 기업 중에서 최소 15년 이상 연속 배당금을 늘린 중소형주 회사의 지수를 추종. 성과 코로나 이후에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근 1년 평균 수익률은 50%에 육박한다. 중형주의 가치가 계속 올라간다는 것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 유지되면서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S&P에서 선정한 기업들의 지표 대부분이 이런 식으로 상승기조를 보이고 있다. 보유주식 주요 투자섹터를 보면.. 2021. 5. 5.
자본소득세율 뜻, 미국의 양도소득세, 부유층에게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정책 자본소득세율이란, 미국의 양도소득세, 부유층에게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정책 자본소득세율 인상 의미 자본소득세율은 미국에서 부과하는 소득세의 한 종류이다. 말 그대로 막대한 자본을 이용해서 얻게 되는 '자본소득'에 과세를 하겠다는 취지이다. 때문에 자본을 이용해 주식이나 부동산등에 투자하여 이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부과하게 되어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것이 있다. 바로 주식 매매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과세하는 양도소득세가 바로 그것이다. 최근에, 바이든정부가 자본소득세를 인상안을 발표하여 이슈가 되었다. 바이든 정부는 민주당인데, 민주당의 스탠스는 본래 세금을 걷어 복지량을 늘리는 것이다. 그래서 부유한 계층이 투자자산, 금융상품을 매수 매도하여 양도차익을 많이 이루어내면 세금을 많이 내도록 정책.. 2021. 5.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