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22

기회비용 뜻, 과거의 선택을 포기한 가치는 현재의 비용으로 환산해야 한다. 기회비용 뜻, 과거의 선택을 포기한 가치는 현재의 비용으로 환산해야 한다. 기회비용이란? 우리는 종종 기회비용이라는 말을 많이 사용하지요. 기회비용이라는 것은 바로 자원의 희소성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개념입니다. 우리는 항상 선택을 해야 합니다. 억만장자가 아니기 때문에 가진 돈의 액수가 정해져 있고, 언젠간 늙고 시들어버릴 신체를 가지고 있기에 시간이라는 것도 정해져 있죠. 이렇듯 희소한 자원을 가진 인간은 이 부족한 자원(돈, 시간 등)을 어디에 활용할 것인가 선택이라는 것을 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2가지 선택지가 있다고 쳐요. 2가지 선택을 고민한다는 것은, 2가지 모두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있기 때문일 것 아니겠어요? 여기서 기회비용은 선택하지 않은 다른 한 가지 선택지를 선택했을 때 얻을 .. 2021. 2. 5.
사모펀드 뜻, 헤지펀드와의 차이, 전략적으로 운용되는 고수 펀드 사모펀드 뜻, 헤지펀드와의 차이, 전략적으로 운용되는 고수 펀드 헤지펀드와 사모펀드 각각 의미와 차이우선 사모펀드를 배우기 전에 헤지펀드라는 것도 알 필요가 있어요. 사모펀드와 헤지펀드의 의미가 시장에서 혼용되고 있기 때문에 정리를 할 필요가 있답니다. 헤지펀드 뜻헤지펀드라는 말은 위험을 회피하되 고수익을 노리는 펀드를 의미하는데요.헷지(Hedge)라는 말이 손실을 상쇄시킨다는 걸 의미한다고 했었죠?  헷지 뜻, 자세히 알아보기 >>   그 헷지에서 따온 것이죠. 그러니까 위험을 손실하는 안전한 투자를 한다는 것인데, 헤지펀드는 전혀 그러지 않습니다. 어떻게 보면 불편한 진실이죠..본래 의미에서 좀 변질된것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통상 헤지.. 2021. 2. 4.
단기금융시장 뜻, 기준금리와 가까운 금융시장, 콜, RP, CD, CP 유통시장 단기금융시장 뜻, 기준금리와 가까운 금융시장, 콜, RP, CD, CP 유통시장 단기금융시장이란? 금융시장은 단기금융시장과 장기금융시장으로 나뉩니다. 통상 1년을 기준으로 나누는데요. 1년보다 짧으면 단기, 길면 장기금융시장이겠지요? 그래서 단기금융시장은 만기 1년 이내 금융상품이 거래되는 시장을 의미하며, 콜(call), 환매조건부매매(RP), CD, CP 등이 유통되는 시장을 의미한답니다.. 단기금융시장은 중앙은행, 즉 한국은행이 설정하는 기준금리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 시장이에요. 쉽게 말해서, 기준금리가 실물경제의 각 영역으로 퍼져나가는 데에 파급효과를 가져오는 시발점이라는 것이죠. 어떤 식으로 퍼져나가는지 한번 살펴볼까요? 기준금리의 영향을 가장 먼저 받는 것은 바로 콜금리와 RP입니다. 콜금.. 2021. 2. 4.
주식 포트폴리오 뜻, 위험관리를 통해 내 자산을 지켜보자. 주식 포트폴리오 뜻, 위험관리를 통해 내 자산을 지켜보자. 포트폴리오 관리를 해야 하는 이유. 포트폴리오는 쉽게 말해, 자산을 적절하게 그 특성에 맞게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주식, 부동산, 채권, 금 같은 자산에 골고루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100% 주식만 보유하는 것은 분산투자라고 할 수 없습니다. 최근 코로나로 인한 저금리정책으로 인해 금융상품에 관심 갖는 사람이 많아졌죠. 저 또한 그런 케이스인데요. 저는 최근에 결혼이란 걸 하고 한 아이의 아버지가 되었습니다. 이렇게 가장이 되었는데, 코로나까지 겹치면서 심각한 자기반성 시간을 갖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금융문맹으로 살다가는 결국 삶이 더 버거워지겠다"라는 생각이 불현듯 머릿속으로 스며든 것입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경제에.. 2021. 2. 4.
GDP 뜻, 국내총생산, 일국 내에서 발생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계산 GDP 뜻, 국내총생산, 일국 내에서 발생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치를 계산 GDP란?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칭인데요. Domestic product라고 하면 국내에서 만들어진 생산량을 의미하고요. 여기서 공제전, 차감전 총소득이라는 것을 의미하는 Gross 가 붙었기 때문에, 이것저것 제외시키지 말고 그냥 순전히 국내에서 만들어낸 총생산량을 추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입니다. 보통 1년을 기준으로 측정한다고 하고요. GDP를 추산하는 목적은 딱 한 가지예요. 그 국경 안에서의 경제력을 파악하기 위해서입니다. 음... 한 나라의 경제력을 어떻게 파악하면 좋을까요? 경제력이라는 것은 사실 추상적인 개념이긴 합니다. 왜냐하면 경제는 변수가 너무나도 많기 때문에 어떤 기준으로.. 2021. 2. 4.
핀테크와 테크핀 차이, 기술과 금융의 융합으로 신세계를 창조 핀테크와 테크핀 차이, 기술과 금융의 융합으로 신세계를 창조 핀테크와 테크핀 최근 마이 데이터, 핀테크와 같은 용어들이 많이 등장하죠? 아무래도 IT기술 발달과 언택트로 인한 비대면 활성화, 그리고 빅데이터 관련 기술들이 등장하면서 금융업계도 이런 기술들을 접목시키기 위한 노력들을 많이 하고 있기 때문 일 것 같은데요. 오늘은 핀테크와 테크 핀이라는 용어의 차이에 대해서 임팩트 있는 설명 들어갑니다. 핀테크란? 핀테크라는 말은 금융을 뜻하는 Finance라는 말과, 기술이라는 의미의 Technology의 합성어입니다. ICT , 즉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결제, 예금, 송금, 투자, 자산관리 등 다양한 금융 전반에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많은 혁신들이 일어나고 있습니다. 그래서 핀테크라는.. 2021. 2. 4.
메타인지, 자기객관화 능력, 초인지를 통해 자신의 현위치를 아는 것이 우선이다. 메타인지, 자기 객관화 능력, 초인지를 통해 자신의 현 위치를 아는 것이 우선이다. 메타인지란? 요즘 책이나 유튜브등 다양한 경로에서 메타인지라는 용어에 대해 자주 듣게 되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메타인지라는 용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메타인지라는 말은 사실 조금 포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단어이긴 합니다. 단어 자체로만 번역하면 Metacognition, 우리말로 하면 "초인지"라고 번역됩니다. 풀어보면 초월하는 인지능력을 의미하는데요, 드래곤볼의 초사이어인이 연상되네요. 하지만, 통상 뇌과학이나, 행동심리학자들이 이 메타인지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내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 무엇을 할 수 없는지 또는 내가 무엇을 아는지, 무엇을 모르는지 아는 것! 참 쉽죠? 메타인지능력은 내가 원하.. 2021. 2. 3.
CBDC, 중앙정부에서 발행하는 암호화폐의 반대급부 화폐, 과연 전망은? CBDC, 중앙정부에서 발행하는 암호화폐의 반대급부 화폐, 과연 전망은? CBDC란?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 최근 뉴스를 보면 CBDC 관련된 내용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CDBC의 개념과 목표에 대해 아는 척할 수 있게 해드리려고 합니다. 쉽지만은 않은 내용이므로, 반드시 차근차근 읽어보시길 바라요! CBDC가 뭐길래? CBDC는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의 약칭인데요. 직역하면 중앙은행(Central Bank)에서 발행하는 디지털 화폐(Digital Currency)가 되겠습니다. 중앙은행이라 하면 중앙정부가 소유한 은행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미국에는 연준(FED)이 있고, 영국에는 영란은행, 중국에는 중국 인민은행, 한국에는 한국.. 202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