샴의 법칙 의미
최근 샴의 법칙 관련해서 경기침체다 아니다 논란들이 많이 있는데요. 전 세계 많은 투자자들이 금융자산에 투자를 하고 있는 만큼 경제침체를 예측하는 일은 그 자체로 의미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샴의 법칙'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샴의 법칙
샴의 법칙은 미국의 '클라우디아 샴'이라는 박사가 고안한 하나의 경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최근 3개월 실업률 이동평균값이 그 직전 1년 실업률 3개월 이동평균값의 최저점보다 0.5% 포인트 상승했으면 경기 침체가 시작된다는 법칙입니다.
말로만 딱 들었을때는 무슨 소리인가 이해가 잘 되지 않으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샴의 법칙의 핵심 요인은 '실업률'입니다.
근로자들이 취업을 잘 하면 취업률이 높은 것이고, 직장을 잃게 되면 실업률이 높은 것이죠.
실업률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추가로 궁금하시다면?
자발적 실업 의미, 일하고 싶은데 일할 수 없는 현실, 완전고용, 불완전고용
자발적 실업 의미, 일하고 싶은데 일할 수 없는 현실, 완전고용, 불완전 고용 자발적 실업의 개념 자발적 실업은 일할 의사가 있어 고용되어 일하기를 원하지만, 현실적인 이유(임금, 거리 등)의
danbi-zoa.tistory.com
경기가 안좋아서 직장을 잃게 되거나 일하고 싶어도 쉬는 사람이 많아지는 시장이 되면, 경제에 그리 좋은 신호가 아닙니다. 그것을 정량적으로 수치화해서 기준을 만들어놓은 게 샴의 법칙인 것뿐이고요.
더 쉽게 이해를 돕기 위해 그래프를 준비했습니다.
샴의 법칙 그래프 해석
연준(연방준비위원회) FRED 사이트에 보면 아래와 같이 그래프를 제공하고 있는데요.
글을 쓰는 시점의 그래프이므로, 실시간 샴 지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준 공식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그래프 해석
Y축(세로축)
실업률의 변화를 백분율 포인트로 나타내는 건데요. 이 y의 값은 최근 3개월 평균 실업률이 지난 1년 동일구간 동안의 최저 실업률과 비교했을 때 몇 퍼센트 포인트 올랐는지를 찍은 점입니다.
그러니까, 지난 1년보다 실업률 상태가 별로 안 좋은데, 그게 이동 평균값 기준으로 0.5% 올랐다 하면 침체를 의미한다는 것이죠.
X축(가로축)
X축은 당연히 시간이겠죠. 1960년부터 현재까지의 데이터를 보여주고 있는데요.
그래프를 자세히 보시면 중간중간 회색음영 영역이 있습니다. 이 부분이 바로 미국 경제가 경기 침체에 빠졌던 시기를 나타내는 건데요. 공교롭게도 그래프가 올라갔을 때 유독 회색음영이 나타납니다. 이게 우연일까요?
만약 동일한 패턴을 보인다면, 지금이 경기 침체라는 의미입니다.
이 그래프를 보니까 비슷한 그래프가 하나 떠오르는데요.
마치 장단기 금리 스프레드를 보는 것 같지 않나요?
장단기금리차 의미, 장기채와 단기채 금리의 스프레드로 경제상황 분석이 가능하다고?
장단기 금리차 의미, 장기채와 단기채 금리의 스프레드로 경제상황 분석이 가능하다고? 장단기 금리차 의미 쉽게 이해하기 장기채와 단기채 금리 차이를 보면 경기침체 여부를 간접적으로 예상
danbi-zoa.tistory.com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하게 되면, 바로 금리차 역전현상이 일어나, 이 또 한 샴의 법칙만큼 중요한 경기불황 신호가 됩니다.
정상적인 경제에서는 장단기 금리차가 양수여야 하거든요.
샴의 법칙 주요 포인트
샴의 법칙 포인트는 이겁니다.
지표가 0.5% 이상 상승하면, 이는 경기 침체가 시작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는 것이죠.
그래프에서 보셨듯이 실제로 과거의 경기 침체 대부분이 이 지표가 0.5%를 초과할 때 시작된 사례가 있죠.
결론
샴 법칙은 실제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같은 주요 경제 기관에서 경기 침체를 예측하고 정책을 조정하는 데 활용되는데요.
이 법칙으로 인해 주식시장이 크게 움직이는 건지, 아니면 주식시장이 움직이면서 샴의 법칙 논란이 끼워 맞추기 식으로 나오는 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이것은 투자자들 본인이 판단해야 할 몫이죠.
어디까지나 지표는 지표입니다.
너무 맹신해서도 안되고 너무 간과할 이유도 없죠. 가장 중요한 것은 종합적으로 경제를 바라보고, 자신의 투자철학과 기준에 의거하여 후회 없는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코로나 이후 초반에 제시되었던 '더블딥' 이론이 다시 올라올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현대화폐이론(MMT)으로 돈을 무한정으로 풀면서 이걸 어떻게든 막아보려 했지만, 결국 내부에서 곪아 다시 올라오는 듯한 느낌인데요. 물론 이것은 제 개인적인 견해일 뿐 일반화하고 싶지도 않고, 저 또한 이 상황을 원하지는 않습니다.
혹여나 폭락장에서 손실을 겪게 되신다면.. 실패했다면 실패를 통해서 또다시 배우면 되는 것이죠.
물론 되돌이킬 수 있을 정도의 자산배분이 필요하겠지만 말입니다.
전 세계 경제가 무사히 연착륙할 수 있길 바라며 글을 마치겠습니다.(내 주식도 무사하길...)
투자 관련 필수 상식
MSCI란? 세계 경제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기르자
MSCI란, Large cap, small cap 개념 바로 알기 경제공부, 투자공부를 하다 보면, 용어에 막힐 때가 참 많죠. 이번 시간에는 수많은 경제용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MSCI에 대한 내용을 공부해 보겠습니
danbi-zoa.tistory.com
안전 자산 종류, 투자 제대로 하려면 이 정도는 알아두자
안전 자산 종류, 어떤 것들이 있을까?안전 자산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이 있으실 텐데요. 원금을 지키기 위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용할 때 안전 자산을 포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경
danbi-zoa.tistory.com
영구포트폴리오 etf, 딱 2가지만 알면 된다
혹시 주식투자에서 영구포트폴리오라는 용어를 들어보셨나요? 어떤 상황에서도 영구적으로 건드릴 필요 없이 지속가능한 포트폴리오라고 알려져 있는데요. 이 포트폴리오 방식의 구조를 한번
danbi-zoa.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