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45 미국주식으로 한달에 3번 배당 받는 방법 미국 주식으로 한달에 3번 받는 방법 배당주 투자를 왜하느냐라는 질문을 받았을때 항상 하는 대답은 이거다. "꾸준한 현금흐름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현금흐름이 중요한 이유 현금흐름이 얼마나 중요한지 아직 모르는 사람이 많다.그러나 단순하게 생각해보자. 계속 오르내리는 시세를 보며 불확실한 미래속에서 투자를 할 것인가, 아니면 작은 수입이라도 확실하게 들어오는 투자를 할 것인가.이것을 비즈니스에 빗대어 보면, 사업이냐 월급이냐라는 물음으로 들릴 수도 있겠지만, 자산을 통해 자산을 불리는 메커니즘을 갖는 투자시스템의 우위를 논할때, 이렇게 노동으로 인한 수입, 즉 사업이냐 월급쟁이냐라는 것과 비교하는 것은 아예 다른 차원의 문제이다.난 직장인이다. 그래서 따박따박 월급이 들어온다. 하지만 남는 시간에 시드.. 2021. 9. 17. DRIV ETF, 자율주행차 섹터에 분산 투자하자 DRIV ETF, 자율주행 전기차 섹터에 분산 투자하자 미래차는 자율주행과 전기차 시장을 합친 말이다. 최근 테슬라와 같은 전기차 내지는 자율주행차 기업들이 시장 점유율을 많이 차지하기 시작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이미 스마트크루즈컨트롤이라는 기능은 2018년 이후부터 상용화가 되어 도로가 깔끔하게 잘 뚫려있는 고속도로에서는 문제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완전 자율주행으로 시각을 바꿔보면 아예 다른 차원의 이야기가 된다. 최근에는 자동차 기업들이 전기차를 비롯하여 이런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에 힘을 쓰고 있기에 관련 산업에 대한 관심도가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오늘은 그와 관련한 ETF인 DRIV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고자 한다. 단, 지금까지의 ETF설명 글과는 약간 다른 방식으로 써 내려가 보려 .. 2021. 9. 16. 헷지 뜻, 한방에 이해하기 헷지 뜻, 한방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 오늘 배워볼 경제용어는 바로 '헷지'랍니다. 짧고 임팩트 있는 설명 들어갑니다 헷지란? 헷지는 울타리라는 의미의 영어 단어 "Hedge"를 그대로 발음한 용어인데요. 주로, 숲 속 언덕에 사는 양치기들이 산이나 들에 치는 울타리를 뜻한답니다. 울타리를 어떤용도로 치는지 같이 생각을 해볼까요? 늑대나 여우 등 들짐승으로부터 양 떼를 지키기 위해 혹은 양 떼들이 빠져나가지 못하게 치는게 울타리죠. 다시 말해, 주인의 소유물을 지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 이것이 바로 울타리입니다. 경제용어에서의 '헷지'도 이 울타리라는 의미에서 파생되었습니다. 투자자 본인의 자산을 지킨다는 의미로 사용됩니다. 이러한 헷지는 여러 다양한 자산 명칭에 함께 붙어서.. 2021. 9. 14. 벤치마킹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벤치마킹 뜻, 10초 만에 이해하기 벤치마킹이라는 말은 이미 우리에게 일상적인 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이 용어는 원래 건축용어였다는 사실! 건물이나 땅을 측량할때 사용한 말로 어떠한 수준이나 표준을 뜻한다. 미국 주식 관련 사이트에서 데이터를 보다 보면 Bench Mark라는 용어가 종종 보이는데, 이것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벤치마킹의 의미보다는 어떤 "기준"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대다수 기업들은 세계 1등이 되고 싶어서 그들의 경영방식을 배우기도 한다. 이렇게 경영방식을 배우는 것을 벤치마킹이라고 한다. 2021. 9. 13. 킴벌리 클라크(KMB), 한방에 이해하기 킴벌리 클라크(KMB), 한방에 이해하기 OVERVIEW 미국 배당주를 공부하면서 킴벌리 클라크라는 기업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다. Kimberly-Clark Corporation은 소비자 제품을 제조 및 제공하는 글로벌 건강&위생 회사이다. 주력제품에는 기저귀, 티슈, 종이 타월, 요실금 관리 제품, 수술 가운 등이다. Kimberly-Clark의 제품은 전 세계 국가에서 판매된다고 하는데, 생각해보니 킴벌리라는 화장지를 나도 꽤 오랫동안 사용했고, 지금도 프리미엄 화장지로 손꼽히는 제품이다. 또 실험실이나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티슈도 킴벌리 제품을 꽤 많이 사용한다. 주가 구글에서 주가를 잠깐 살펴봤다. 21년9월11일 현재 137.05$이며 시가총액은 한화로 461.53억 정도이다. 나스닥의 빅테크기.. 2021. 9. 11. 기회비용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기회비용 뜻, 10초 만에 이해하기 기회비용이란? 기회비용이라는 말은 여러가지 선택(Option) 중에서 하나를 선택했을 때, 포기하게 되는 다른 한 가지 대안의 가치를 말한다. 쉽게 말해 포기를 안 했으면 얻을 수 있었을 이익 중 가장 가치가 큰 것이다. 예를 들어야 쉽다. 당신이 100만원의 현금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자본주의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돈이 있으면, 돈을 벌 수 있다. 즉, 100만원이라는 돈을 누군가에게 빌려주어, 이자를 얻어 낼 수 있는 것이다. 첫 번째 선택은 은행 예금이다. 은행에 예금을 하면, 은행은 그 돈을 빌린 대가로 우리에게 이자를 준다. 은행은 그렇게 목돈이 모이면 다른 곳에서 돈을 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당신은 은행에 돈을 묻혀두고, 이자를 받을 수.. 2021. 9. 10. AGNC 인베스트먼트, 한방에 이해하기 AGNC 인베스트먼트, 한방에 이해하기 최근 미국주식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미국주식이 각광받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가 있다. 첫째는 안정성, 둘째는 배당이다. 오늘은 배당측면에 초점을 둔 기업 AGNC에 대해 알아보겠다. 개요(PROFILE) 종목명(Title) : AGNC Investment Corp 티커(Ticker) : AGNC 상장시장 : 미국 나스닥(NASDAQ) 수익구조 AGNC 인베스트먼트는 기본적으로 리츠(REITs)로 분류되는 기업이다. 그러나 AGNC는 일반적인 리츠기업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부동산에 관여하고 있긴 하지만, 주택담보대출채권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는 회사이다. 주택담보대출채권은 다른말로 MBS라고 하는데, 여기에 돈을 투자하면, 주택담보대출을 일으킨 채무가 있는 사.. 2021. 9. 10. 웹 2.0이란 어떤 개념일까? 웹2.0 개념 우선 웹 1.0 개념에 대해 알아보자. 웹 1.0은 인터넷 초장기모델이 도입되면서 막 정보화시대가 개막되던 시기의 인터넷 서비스를 일컫는 말이었다. 여기서 한걸음 진보된 기술 웹 2.0은 웹 1.0과의 달리 인터넷으로 상호작용이 더 활발해진 서비스를 말한다. 예를 들면, 페이스북과 같은 SNS 플랫폼과 위키피디아 처럼 정보를 공유하는 플랫폼이 주도하는 서비스가 바로 이런 것들이다. 우리는 현재 웹 2.0 시대를 살고 있다. 웹3.0 개념 그러나 최근에는 웹 3.0이라는 용어로 새로운 인터넷 구조를 설명하곤 한다. 두뇌를 사용하는 인간의 뇌처럼 똑똑한 인터넷을 말하는데, 이미 이런 개념의 기술들이 도입되고 있다. AI와 딥러닝 같은 기술들이 이런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다. 본격적으로 상용화되.. 2021. 9. 8. 이전 1 ··· 258 259 260 261 262 263 264 ··· 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