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45 DSR 뜻, 한방에 이해하기 DSR 뜻, 한방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 최근 부동산 대출규제 이야기로 온 동네가 많이 시끄럽지요? 그중에서도 빠지지 않고 나오는 이 단어! 바로 DSR 이죠! 이 DSR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도 역시나 짧고 임팩트 있는 설명으로 DSR 의미를 한방에 이해해볼까 합니다. DSR 이란? DSR은 Debt Service Ratio 의 약칭입니다. 우리말로 직역하면 채무(Debt)를 상환하는(Service) 비율이에요. 그래서 채무상환비율이라고도 합니다. 우리가 돈을 갚을 의무를 채무라고 하지요? 그 채무를 잘 이행할 수 있는지를 기준을 정해서 비율로 따져본다는 겁니다. 대출 없이 사는 부러운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생계를 영위하면서 금융기관의 힘을.. 2021. 9. 7. 대체재 보완재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대체제 보완재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대체재란? 대체제는 꿩 대신 닭의 개념이다. A라는 재화 대신 B라는 재화를 사용할 수 있으면 A, B는 서로 대체재가 된다. 소고기와 돼지고기가 대표적인 대체재이다. 그래서 A와 B는 경쟁적인 성경을 띄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 그래서 다른 말로 경쟁재라고도 한다. 이때 조금 더 시장에서 효용이 있는 재화를 상급재, 그렇지 않은 재화를 하급재라고 한다. 대체제는 독과점으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하고자 하여 인수합병 등에 법적으로 많은 제재를 가하고 있다. 예를 들면, A라는 기업이 B를 인수하게 되면, 소비자는 A만 이용할 수 있게되므로 가격 상승에 쉽게 노출되고 말기 때문이다. 보완재란? 보완재는 말그대로 서로 보완을 해줄 수 있는 재화가 바로 그것이다. 바늘.. 2021. 9. 6. 분식회계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분식회계 뜻, 10초 만에 이해하기 분식회계란? 분식회계의 "분식(粉飾)"이라는 말은 뭔가를 "치장하다, 꾸미다"라는 의미를 갖는 일본식 한자어이다. 과거 미국에서 '엔론'이라는 기업이 재정상태를 꾸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다가 파산한 사건을 일본에서 '분식'이라는 말로 다뤘던 것이 우리나라까지 온 것이다. 분식이 "꾸미다"라는 의미를 갖는다면, 분식회계는 회계장부를 그럴듯하게 꾸미는 행동을 의미한다. 그래서 분식회계는 다른말로 '회계조작'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편적으로는 투자자들이 공시에서 읽게 되는 재무제표를 조작하는 것을 말한다. 기업이 실적이 악화되고, 채산성이 떨어지며 도산위기에 몰리면 기존의 투자자들은 투자금을 도로 회수하고 돈을 빌려줬던 금융기관에서도 대출을 다시 회수해가려고 할 것이다. 이.. 2021. 9. 5. 마타도어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마타도어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마타도어란? 마타도어(Matador)는 본래 투우사를 뜻하는 스페인 단어 Matador(마따도르)가 영어식으로 발음되어 한국으로 넘어온 단어이다. 투우사가 어떤지 상상해보면 의미도 기억하기 쉽다. 투우 경기에서 소와의 혈전을 펼치는 투우사는 빨간 천을 휘두르며 황소를 유인한 뒤에 자신에게 뒤를 보이는 순간 정수리를 찔러 죽인다. 이처럼 상대가 뒤를 보이는 순간 예상치도 못한 한방으로 정수리를 쳐내어 당혹시키는 방식을 바로 마타도어라고 한다. 이 말은 우리나라에서는 쌩뚱맞지만 정치권에서 자주 쓰이는 말이다. 서로 견제를 하는 야당과 여당에서 지지율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필살기'라고 이해하면 된다. 최근에는 문재인대통령이 마타도어라는 말을 사용했다. '북한에 원전건설까지 .. 2021. 9. 4. 스필 오버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스필 오버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스필오버(Spill Over)란? 경제학 용어중에 스필오버효과라는 말이 있다. 어떤 요소의 생산성의 상승과 하락으로 인해 그 주변에 부대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Spill Over라는 영어단어가 '넘치다'라는 의미를 갖는 것처럼, 하나의 요인이 주변 경제 전체에 영향을 준다면, 스필 오버효과라고 볼 수 있다. 스필오버효과로 인해 생산성이 상승할 수도 있지만, 반대로 하락할 수도 있다. 그래서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나타나는 효과이기 때문에 다소 포괄적인 의미를 갖는 용어이다. 최근의 IT 플랫폼기업이 덩치를 키워가면서 스필오버효과가 부각되고 있다. 이런 플랫폼 기업들이 성장함으로 인해 기술력의 영향이 닿는 국경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다. 2021. 9. 3. 한국은행 기준금리, 개념 10초만에 이해하기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도대체 뭐길래! 기준금리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경제에 관심을 처음 갖게 된 초심자분들은 가장 난해한 것이 바로 금리입니다. 보통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25bp 올린다는 둥 내린다는 둥, 참으로 어려운 경제용어들과 함께 빼곡한 경제기사를 접하게 되기 때문인데요. 오늘은 기준금리에 대해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은행에서 대출하면 이자를 낼 것이고, 예금을 하면 이자를 받지요. 그런데 은행은 이자를 독단적으로 정할 수가 없습니다. 한국은행이 정하는 기준금리에 따라 이자를 결정하게 되는데요. 그래서, 기준금리는 기본적으로 금융시스템에서 가장 뼈대가 되는 요소입니다. 매우 매우 중요해서, 투자, 경제 공부를 하기 시작할 때 반드시 제대로 배워야 하는 부분이지요. 최근에도 코로나사태로 인해 한국.. 2021. 9. 3. 잭슨홀 미팅이란, 10초만에 이해하기 잭슨홀 미팅이란, 10초만에 이해하기 잭슨홀(Jackson Hole) 미팅이란? 경제관련 뉴스를 보다보면, 잭슨홀 미팅이라는 말이 최근들어 자주 등장한다. 잭슨홀 미팅이 도대체 무엇일까? 사실 잭슨홀은 미국 와이오밍주에 위치한 지역 이름이다. 1978년을 시작으로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에서 이곳에서 토론회를 열면서 잭슨홀 미팅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잭슨홀 미팅은 전세계 주요 경제관료들, 그러니까 "나 경제 좀 안다"하는 사람들이 모두 모여서 경제정책을 논의 하는 토론회라고 보면 된다. 대표적으로 선진국들의 중앙은행 총재들, 저명한 경제학자와 교수들이 그 대상이다. 전세계적으로 큰 방향의 경제의 흐름을 논하고, 경제정책에 대해 이야기하는 자리이기때문에, 이 미팅이 열리는 날에는 전세계가 주목한다. 주가도 .. 2021. 9. 2. 긱 이코노미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긱 이코노미 뜻 긱 이코노미는 'GIG JOB'이라는 미국 용어에서 유래했다. GIG이라는 말은 본래 "임시의, 일시적인 일"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그러니까 GIG JOB이라 하면, 공식적으로 고용된 정규직 개념이 아니라, 잠깐 지나가던 행인을 빌려 쓰는 것과 비슷한 개념인 거다. 이 용어 원래 재즈바와 같이 객원으로 연주자를 영입해 파트타임으로 고용하던 형태를 일컫는 말이었다. GIG이라는 말에 Economy라는 말이 붙은 긱 이코노미도 이와 비슷한 의미를 갖는다. 정식으로 고용된 사람이 아닌 형태로 플랫폼상에서 일시적으로 일거리를 받고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계약의 형태보다 거래의 속성을 갖는다. 노동력과 시간을 돈으로 교환하는 것이다. 최근 배민 커넥트가 대표적인 예이다. 플랫폼을 .. 2021. 9. 1. 이전 1 ··· 259 260 261 262 263 264 265 ··· 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