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445

메타버스 ETF, 메타버스 관련주 알아보기 메타버스 ETF, 메타버스 관련주 알아보기 메타버스의 의미 메타버스는 '가상의, 초월적인'이라는 의미를 가진 'META'라는 단어와 '우주, 세계'를 뜻하는 Universe의 합성어이다. 그래서 우리말로는 그냥 '가상의 세계'라는 의미가 된다. 메타버스는 현실과는 다른 가상공간, 인터넷공간에서의 삶 그 자체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이다. 메타버스를 왜 알아야 하는가? 엄밀히 따지고 보면 메타버스라는 것이 비단 우리가 난생 처음으로 겪는 것은 아니다. 이미 우리 주변에서 가상속 공간은 너무 당연하다. 페이스북이 대표적인 예이다. 배틀그라운드라는 게임도 있다. 이렇듯, 과거 인터넷이 발달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우리는 이미 가상공간에서 게임도 하고 채팅도 다 경험해봤다. 그런데 왜 이제 와서 다시 메타버스라는.. 2021. 9. 23.
스태그플레이션 뜻, 한방에 이해하기 스태그플레이션 뜻, 한방에 이해하기 스태그플레이션 개념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란 경기가 침체하는데도 물가가 지속적으로 오르는 현상을 말한다. 원래 물가가 오르는 현상은 경기가 과열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공급량은 동일한데 구매하고자 하는 수요가 많아지면서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이로 인해 가격이 오르는 것이다. 반면에 가격이 떨어지는 상황은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이다. 경기가 침체되면 유동성이 줄어들고, 그로 인해 구매력이 감소한다. 그러면 물가도 같이 떨어지기 마련이다. 그런데, 스태그플레이션은 경제성장률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물가는 계속 오른다. 서민들은 경기가 안 좋으니 실업과 저소득으로 고통받게 되는 마당에 물가까지 오르니까 이중고에.. 2021. 9. 23.
전방산업, 후방산업 뜻 전방산업, 후방산업 뜻 전방산업과 후방산업 전방산업, 후방산업을 구분하는 기준은 간단하다. '소비자와 얼마나 가까이 있느냐'이다. 생산의 흐름을 보면 제품이 생산되는 공장부터 소비자에 손으로 넘어가기까지의 일련의 과정들 중에서 공장에 가까운 산업이 있고, 소비자와 가까운 산업이 있다. 공장에 가까우면 후방산업, 소비자와 가까우면 전방산업이다. 전쟁터에서도 전방이라고 하는 것처럼, 소비자와의 치열한 공방이 이루어져야 하는 곳을 전쟁터라고 한다면, 전방산업은 바로 소비자와 가까운 곳이란 말이 된다. 자동차를 예를 들면, 현대차 기아차와 같은 완성차 업체들은 전방산업이 된다. 자동차를 만들어서 소비자에게 직접 돈을 받고 건네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완성차 업체들에게 부품을 공급하는 반도체회사나,.. 2021. 9. 22.
물가연동채권, 10초만에 이해하기 물가연동 채권, 10초 만에 이해하기물가연동 채권이란?원금 및 이자지급액을 물가에 연동시키는 채권이다.그래서 채권 투자시에 물가변동에 관한 부분을 헷지, 즉 위험성을 어느 정도 상쇄시켜 실질 구매력을 보장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일반적인 채권은 만기시점에 상환될 때까지 원금이 변동하지 않고, 지급되는 이자도 일정하다.    그러나, 물가연동채권은 원금이 물가에 연동되어 증감하기 때문에 발행 이후 물가 변동에 따라 원금이 달라지고, 원금이 달라지니까 결국 지급되는 이자도 달라지게 된다. 쉽게 말해, 물가에 따라 그 가치가 변하는 채권인 셈이다. 물가연동 채권의 원금은 소비자물가지수 CPI에 따라 변한다. 그리고 이렇게 계산된 원금에 표면이율을 곱하여 이자지급액이 산출되기 때문에 이자.. 2021. 9. 22.
센티멘탈 뜻, 한방에 이해하기 센티멘탈 뜻, 한방에 이해하기 센티멘탈이란? 가끔 경제 시황을 듣다 보면 센티멘탈(sentimental)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센티멘탈이라는 말은 영어단어를 그대로 옮겨 사용하는 말인데, "감정적인" , "정서적인"이라는 의미이다. 이 용어는 주로 펀더멘탈(fundamental)이라는 용어와 함께 대비되는 말로 자주 나온다. 어떤 기업이나 경제의 상황을 분석할 때 펀더멘탈은 "근거가 있는 객관적인 사실"에 기대어 접근하는 방식을 말하고, 센티멘탈은 "투자자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에 더욱 초점을 맞춘 방식을 말한다. 그래서 펀더멘탈이 좋지 않은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그 기업의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고 한다면, 투자자들이 센티멘탈에 기댄 투자를 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기업의 매력적인 마케팅, 영업.. 2021. 9. 21.
MMT 이론 (현대화폐이론), 10초만에 이해하기 MMT 이론(현대화폐이론) 최근 코로나가 터지면서 경제학계에서 MMT이론이 거론되고 있다. MMT이론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MMT이론이란? MMT론자(MMT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정부가 화폐를 발행할 수 있는 권리, 발권력을 가지고 돈을찍어서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지금까지 상식선에서 바라본 일반적인 거시경제학에서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은 크게 두가지이다. 첫째, 채권발행한다. 둘째, 세금을 걷는다. 위 두가지 방법 모두 돈을 찍지 않고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채권발행은 돈이 많은 다른 기업들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이고, 세금은 그 나라에 사는 시민들로부터 회비를 조금 더 걷는 것이다. 즉 시중에 유통되는 자금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딱 한가지이다. 인플레.. 2021. 9. 20.
폰지 사기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폰지 사기 뜻, 10초 만에 이해하기 폰지사기의 의미 쉽게 이해하기 폰지사기라는 말은 최초 이런 다단계 사기 수법을 저지른 것으로 잘 알려진 이탈리아 출신 금융인 '찰스 폰지'의 이름에서 유래된 것이다. 그 당시에는 정보망이 꽤 부실했다. 그래서 IRC라는 우표를 통해 국가 간의 가격차이를 이용한 차익거래로 수익을 내는 것이 가능했다. 폰지는 우표 차익거래를 통해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아이디어를 투자자들에게 알려 투자금을 모았다. 증권거래회사까지 설립해 대규모 투자금을 유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내 잠적하여 자취를 감추게 된다. 그래서 폰지사기라고 하면 그럴듯한 수익구조로 투자자들을 속이는 다단계 사기를 말한다. 실제로는 이윤이 아예 없거나 미미한 상태에서 투자자들을 모은 뒤, 그들에게 일정기간 배당금을 .. 2021. 9. 19.
전문경영인 방식이란? 일반적으로 대기업을 제외한 대다수의 기업들은 회사의 CEO가 회사를 경영한다. 즉 대표이사가 한 명이라는 말이다. 그러나 IMF와 같은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황제식 경영'에서 벗어나, 오너의 대리인으로 '전문 경영인'을 고용하는 사례가 많아지기 시작했다. 미국과 같은 해외에서는 이미 CEO라는 직책을 갖고 이회사 저회사 옮겨 다니는 것은 일반적인 일이다. 그 문화가 한국으로 넘어온 것뿐이다. 그러나 전문경영인은 언제까지나 자신을 고용한 진짜 오너의 눈치를 봐야 하며, 임기가 있기 때문에 단기간에 실적을 올리기 위한 몸부림이 오히려 기업의 주가에 역효과를 일으킨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그래서 최근 자리 잡은 것은 "오너+전문경영인" 방식이다. 이는 삼성경제연구원에서 조사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오너 운영,.. 2021. 9.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