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446 사외 이사제도 뜻, 외부 전문가를 회사로 영입 사외 이사제도 뜻, 외부 전문가를 회사로 영입 외부의 전문가들을 이사회 구성원으로 선임하여, 대주주와 관계가 없는 제 3자의 객관적인 입장에서 경영에 참가시킴으로써 대주주의 전횡을 막기 위한 제도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경우 사실상 유명무실한 제도라는 비판이 있다. 보통 교수나 관련업계 공무원 와 경력이 있는 베테랑들이 사회이사로 임명되는데, 대주주의 친지나 가까운 지인들이 임명되기 때문에 '거수기'역할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본래의 사외이사제도 취지와는 맞지 않는 경우가 대다수라고 한다. 대주주와의 친분으로 견제와 감시등을 통한 객관적인 경영이 되지 않으나 당초 취지가 무색한 것이다. 사외이사제도의 존재의미를 다시 한번 부각할 필요가 있는 실정이다. 함께 보면 도움되는 글 2022.08.16 - [경제.. 2021. 10. 8. 와이브로 뜻, 한방에 이해하기 와이브로 뜻, 한방에 이해하기 와이브로(Wibro)란? 와이브로(Wibro)는 '와이어리스 브로드밴드 인터넷(Wireless Broadband Internet)의 약칭이다. 쉽게 말해, 무선 고속 인터넷을 차량이나 기차 등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전철에서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것도 이 와이브로 기술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와이브로는 미국의 퀄컴사에서 제공하는 CDMA 코드분할 다중접속 서비스에서 독립하고자 하는 의미가 담겨있는 말이다. IT강국인 우리나라는 IEEE(Institue of Electronics Engineers) 등과 같이 이 와이브로 기술의 국제표준화를 주도해오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미국에서는 이 기술을 와이브로가 아닌 와이맥스(Wimax)라고 부른다. 어찌됐.. 2021. 10. 8. XLF ETF, 대형 금융주에 분산투자하자 XLF ETF, 대형 은행주에 분산 투자하자 OVERVIEW(개요) ETF명 : Financial Select Sector SPDR Fund 자산운용사 : SSGA (State Street Global Advisors, SPDR(Spider) Brand 설정일 : 1998년 12월 운임 수수료(Expense ratio) : 0.12% 거래규모(AUM) : $39.37B 투자방법 : S&P500에 속한 대형 은행주에 분산투자. 믿고 보는 SSGA의 스파이더 브랜드 ETF이다. 설정일도 98년도로 오래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운영되어 왔을 것임이 분명하다. 운임 수수료의 경우 0.1% 미만의 저렴한 지수 추종 ETF들도 많이 있는 것에 비하면 어느 정도 있는 셈이지만, 0.5% 미만이면 보통 양호한 수준으로 보.. 2021. 10. 7. MGK ETF, 한방에 이해하기 MGK ETF, 한방에 이해하기 개요(PROFILE) 종목명(Title) : Vanguard Mega Cap Growth ETF 티커(Ticker) : MGK 자산 운용사(Issuer) : Vanguard 운임 수수료(Expense Ratio) : 0.07% 설립일(Inception Date) : 07년 12월 17일 투자 규모(AUM) : $11.94B 투자 전략(Fund Description) : 미국 대형주 시장에서 EPS와 EPS 성장성을 고려하여 우수한 기업에 투자 자산보유현황 (HOLDINGS) - 섹터 및 보유기업 S&P500, 즉 시장지수에 투자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냥, 미국 대형주 시장에 투자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주가 및 배당 (PRICE & DIVIDENDS) *작성일 시점 .. 2021. 10. 7. 프리터족 뜻, 한방에 이해하기 프리터족 뜻, 한방에 이해하기 프리터족이란? 일본의 신조어인 프리터족이라는 말은 자유를 뜻하는 free에 아르바이트를 하는 사람, 즉 아르바이터(arbeiter)의 합성어이다. 본래는 능력이 되는데도 불구하고 의도적으로 정규직을 구하지 않고 아르바이트, 프리랜서와 같은 고용형태로 생계를 유지하는 부류의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었다. 그러다가, 일본의 경기불황과 고용침체가 심화되면서 정규직을 갖지 못하고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말로 변하게 됐다. 한국에서도 이런 개념을 가져와서 비정규직으로 활동하는 사람을 통틀어서 일컫는 말로 쓰이고 있다. 최근 코로나 쇼크로 인해 얼어붙은 취업시장에서 마땅한 직장을 구하지 못한 젊은 층들이 많이 보인다. 그래서 프리터족이라는 말이 다시 거론되는 상황이다. 2021. 10. 6. BSI 기업경기실사지수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BSI 기업경기실사지수 뜻, 한방에 이해하기 BSI지수는 경기를 나타내는 수많은 지표들 중 하나이다. BIS라는 말은 Business Survey Index의 약칭으로, 단어만 봐도 뭔가 회사에서 설문 조사하는 것 같은 행위로 지수를 산출해내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정답이다. 기업인들에게 설문지를 돌려서 경제를 낙관적으로 보는지 부정적으로 보는지 물어보고 그것을 수치화 한것이 다름 아닌 BSI지수이다. 간단하지 않은가? 그래서 100을 기준으로 높으면 호황, 낮으면 불황을 전망하고 있다고 해석하면 속편하다. 100을 넘으면 낙관적으로 경기를 전망하는 기업들이 많다는 이야기가 되고, 100보다 낮으면 그 반대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과 같은 50여 개 선진국에서 BSI 조사를 실시.. 2021. 10. 6. 미국 ETF QQQ, 나스닥에 투자하고 배당받자 미국 ETF QQQ, 나스닥지수에 투자하고 배당받자 미국 ETF 하면 QQQ라고들 하는데, 도대체 QQQ가 뭘까? QQQ는 미국ETF의 티커 이름이다. 티커는 미국주식의 별명 같은 거다. 애플은 AAPL이라는 티커를 사용하고, 스타벅스는 SBUX를 사용한다. 즉 기업들은 자신의 기업 이름을 나타낼 수 있는 티커를 사용하지만 ETF는 보통 자산운용사의 명칭을 따라간다. Invesco라는 자산운용사는 QQQ뿐만아니라 Q가 들어가는 ETF 상품들이 꽤 있다. 그러나 오늘은 QQQ에 대해 짧게 알아보자. 개요(PROFILE) 종목명(Title) : Invesco QQQ Trust 티커(Ticker) : QQQ 자산 운용사(Issuer) : Invesco 자산운용 운임 수수료(Expense Ratio) : 0.2.. 2021. 10. 6. 미국 주식 용어 정리 (Summary편) 미국 주식 용어 정리 (Summary 편) 미국 주식을 하다보면 용어가 참 난해하다. 가뜩이나 영어도 잘 못하는데, 주식에 영어까지 하려니 더 어려운 것 같다. 오늘은 미국주식을 하면 처음 기업개요(Summary)에 등장하는 용어들을 하나씩 정리해보았다. Summary에서 확인할 수 있는 미국 주식 용어 Previous Close : 전일 종가. 전날 끝날 때의 주가를 의미함. Open : 열린다는 의미를 갖는 Open으로, 오늘 시작가를 의미함. Days Range : 거래일중 저가 및 고가를 나타냄. 52 Week Range : 현재부터 52주 전까지의 저가 및 고가임. 즉, 지난 1년간의 최저점과 최고점의 범위를 나타낸다. Volume : 주식 거래량을 의미. Avg.Volume : 지난 3개월간 .. 2021. 10. 6. 이전 1 ··· 254 255 256 257 258 259 260 ··· 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