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위험관리,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이 현금을 팔아야 할 때입니다.
자산관리, 위험관리,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이 현금을 팔아야 할 때입니다. 자산관리, 위험관리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어느덧 한 달 하고도 보름 정도가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경제, 투자에 관한 올바른 상식을 알려드리고, 자신의 자산을 관리하실 수 있는 능력을 키워드리고 싶어 이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놀러 와서 댓글 남겨주시고, 많은 성원을 해주셔서 더욱 즐겁고 보람 있게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와서 하나라도 얻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기쁩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단지 수익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저의 라이프 스타일로 가져가겠노라 결심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코로나 이후로 경제지표들이 불안 불안합니다. 위험자산의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실물경제는 상황이 좋지 않지요. 글..
경제용어
2021. 1. 3.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의미 고소득층 혹은 대기업의 성과가 좋아지면, 아래쪽으로 연쇄작용을 일으켜 저소득층에게 이익이 분배되고, 결국 경제 이익이 향상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트리클다운(Trickle-down)이라는 말은 위에서 물방울이 뚝뚝 떨어지는 것을 연상시키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경제 흐름이 생기는 것도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이라고 말한답니다. 다른 말로는 "낙수효과"라고도 불리죠.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은 대기업과 고소득층부터 성장시키면, 자연히 관련된 1차, 2차 산업이 발전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이론이에요. 예를 들면, 대기업에 매출실적이 오르면, 장사가 잘된다는 것이니, 더 많은 일자리가 필요하겠죠?? 그..
경제용어
2020. 12. 30.
CRB 상품지수 뜻, 원자재 가격의 흐름으로 매크로를 분석, 로저스 상품지수
CRB 상품지수 뜻, 원자재 가격의 흐름으로 매크로를 분석, 로저스 상품지수 CRB 상품지수 의미 오늘은 CRB지수라는 경제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RB지수의 'CRB'라는 말은 국제 원자재 및 선물 조사회사의 이름입니다. Commodity Research Bureau의 약자이죠. 우리말로 번역하면 "상품조사연구소"라고 한답니다. CRB지수는 "시아르 비 지수"라고도 많이 불립니다. 의미를 잠깐 살펴보죠. CRB지수라는 것은 CRB에서 선정한 19개의 원자재 가격의 평균으로 계산된 지수입니다. 이 19개의 원자재는 석유, 천연가스, 구리, 니켈, 알루미늄, 돼지고기, 옥수수 등이 포함되어 있는데요. 원자재라는 것은 말 그대로, '제조업에서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원료들'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
경제용어
2020. 12. 14.
월스트릿 뜻, 월가의 유래 알아보자
월스트릿 뜻, 월가의 유래 알아보자 월스트릿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경제 관련 뉴스를 보면 월가, 혹은 월스트릿이라는 단어를 꽤 많이 듣게 된다. 월스트릿은 미국 맨해튼의 금융가를 일컫는 말이다. 월가에는 많은 은행, 증권사, 보험사와 같은 금융기관들이 있으며, 21조 달러에 달하는 기업들의 주식이 실시간으로 거래되는 현장이다. 즉, 천문학적인 수치이며, 글로벌 경제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물리적, 지리적인 장소라는 것이다. 월가의 역사 사실 이 월스트릿이라는 이름은 역사적으로 유래가 깊다. 맨해튼 섬이 처음에는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거리였다. 월가라는 이름도 '월'도 영어 단어 그대로 'Wall, 벽'을 의미했었다. 그러므로 '월가'라는 말을 직역하면 '벽의 거리'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월가가 벽이..
경제용어
2020. 1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