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538

미국 주식 세금, 한방에 이해하기 미국 주식 세금, 한방에 이해하기 오늘은 미국 주식 세금에 대해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 가져보겠습니다.미국 주식을 하다 보면 해외주식수수료라던가 양도소득세 등을 거래를 하며 발생되는 부대비용 또한 무시할 수 없는데요. 이에 대해 잘 알고 시작하신다면 분명 자산관리계획을 더 효율적으로 꾸리 실수 있을 것 같아요오늘은 양도소득세에 대해 중점적으로 알아볼게요.  미국 주식은 양도소득세만 알면 된다.  미국 주식 세금은 이 양도소득세만 기억하면 됩니다.증권거래수수료는 다음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죠. 양도소득세라는 것은 내가 소유한 뭔가를 팔 때 정부에 내야 하는 세금을 말해요.대표적으로 부동산을 팔 때도 이런 양도소득세를 내는데요.주식도 마찬가지로 양도소득세를 낸답니다.다만 한국 주식은 .. 주식투자 2021. 5. 16.
레임덕 뜻, 임기 말 권력 누수 현상, 정권이 교체될 때 나타나는 현상 레임덕 현상 뜻, 임기 말 권력 누수 현상, 정권이 교체될 때 나타나는 현상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임덕 의미를 한번 알아볼까 합니다 정치 시사용어긴 하지만, 경제 또한 정치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해 경제블로그인 머니머신팩토리에서도 가끔씩 정치용어를 다뤄볼까 해요. 그럼 지금 바로, 레임덕의 의미를 짧고 임팩트있는 한방 설명으로 궁금증을 해소시켜드리겠습니다 레임덕이란? 레임덕(Lame Duck)이란 현직에 있던 대통령이 임기말이 될 때 즈음에, 대통령이 하는 명령이 먹혀들지 않아 국정 수행에 차질이 생기는 것을 말하는데요. 임기말이되면 대통령이 교체될 때가 다가온 것이잖아요? 그러면 국정을 수행하는 집권당이 아닌 다른 당들은 어차피 바뀔 대통령 말을 들어서 뭐해?라는 생각을 .. 경제용어 2021. 5. 16.
지급준비율 뜻, 은행 전체 예금액 중 현금보유액의 비율, 뱅크런 방지 대책 지급준비율 의미, 법정지급준비율이란? 안녕하세요, 오늘도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급준비율의 기초개념을 간단하게 설명드릴게요. 지급준비율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전체 예금액 중, 현금으로 보유한 금액의 비율을 말하는데요. 여기서 현금이란 물리적으로 눈에 보이는 실물 지폐나 동전을 의미합니다. 처음 이 단어를 접하신 분들은 이게 무슨 뜻인지 이해가 잘 안 가실 거예요. 은행들은 예대마진(예금과 대출의 마진)으로 이익을 남기는데요. 은행이 벌어들이는 순수익은 아래와 같죠. 순수익: 대출(안전한 투자)로 돈을 굴려서 만들어낸 수익 - 예금을 받고 고객에게 지급한 이자액 은행은 고객들에게 예금을 받아 모으죠, 이게 예치금이잖아요. 그리고 고객들에게 그에 상응하는 이자를 줍니다. 그럼 은행은 그 돈으로 안.. 경제용어 2021. 5. 16.
증자 감자 뜻, 자본금을 늘리고 줄이는 행위, 유상증자 무상증자 개념 증자 감자 뜻, 자본금을 늘리고 줄이는 행위, 유상증자 무상증자 개념 증자란? 증자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유상증자와 무상증자가 그것이다. 유상증자는 말그대로 유상으로 증자를 하는 것이다. (증자는 자본금을 증가시키는 것을 말한다) 유상이 뭔가? 무상수리 유상수리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유상은 돈이 오간다는 말이다. 페이를 지불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유상증자는 자본금을 실제로 투자자들에게 추가를 받아 신주발행을 한다. 여기서 신주발행이라는 말은 없던 주식이 새로 생겼다는 것이다. 추가로 자본금을 받을 것이니 추가로 주식을 발행해야 하는 것이 인지상정. 만약 급하게 돈이 필요한 기업이 있다면 금융기관에서 채권이라는 이름으로 대출을 일으키지 않고 이렇게 유상증자를 함으로써 투자자들에게 돈을 끌어모을수 .. 경제용어 2021. 5. 16.
SMDV ETF, 배당성장주 포트폴리오, 러셀2000 지수 포함 종목으로 구성 SMDV ETF, 배당성장주 포트폴리오, 러셀2000 지수 포함 종목으로 구성 ETF 개요 ETF명: ProShares Russell 2000 Dividend Growers ETF 운용사: ProShares 설립일: 2015년2월5일 운임수수료: 0.41% 거래규모: $926.33M 투자방법: 10년동안 배당금을 증가시켜온 미국 소형주의 지수를 추적한다. ETF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러셀2000 지수에 포함되어 있는 배당성장주 위주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되어있는 ETF이다. 2000개의 주식중에서 약 50개의 종목만 편입되어있다. 실적 1년 주가 추이이다. 조금씩 주가가 오르고 있는 상태이다. 천문학적인 경기부양책으로 모멘텀을 받은 상태에서 바이든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추가부양책등이 호재로 작용했다. 현재 .. 경제용어 2021. 5. 16.
AUM 뜻, 총 관리자산, ETF 운용자금은 얼마나 될까? AUM 개념, 총 관리자산, ETF 운용자금은 얼마나 될까? AUM이란? AUM은 Asset Under Management의 준말로, 직역하면 총 관리자산이다. 주로 미국 주식에서 자산운용사가 설계한 펀드에 투자되어 운용되는 총자산을 의미하는 용어이다. 예를 들면, 어떤 ETF의 AUM이 $10B라고 해보자. (여기서 B는 빌리온 달라를 의미) 이 때, 해당 ETF에 투자한 자산규모 전체가 $10B 정도 된다는 말이다. 자산운용사는 투자자들의 투자한 모든 돈을 다 모아서 굴릴 것인데, 이 때 그 규모가 $10B정도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 지표를 가지고 특정 펀드(혹은 ETF)가 얼마만큼의 규모로 투자되어지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는 것이다. AUM 정리 AUM은 다시 말하면 ETF를 만든 자산운용사에 .. 경제용어 2021. 5. 13.
FPE ETF, 우선주에 투자하여 현금 흐름을 확보하자 FPE ETF, 우선주에 투자하여 현금 흐름을 확보하자 ETF 개요 ETF명: First Trust Exchange-Traded Fund III 자산운용사: First Trust 설립일: 13년 2월12일 운임수수료: 0.85% 거래규모 $6.35B 현재주가: 약 20$ 투자방법: 다양한 분야의 우선주에 투자하여 일정한 현금흐름(Cash Flow)를 만드는 전략으로 관리되는 펀드임. 주로 미국기업이 발행한 우선주에 투자하며 25%정도는 금융 부분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리츠나 고수익 채권에도 할당되어 있음. 실적 근 1년 주가 흐름차트이다. 코로나로 인해 부양책이 터져나오면서 주식으로 몰린탓인지 모르겠지만 근1년동안에는 아주 훌륭한 퍼포먼스를 보이고 있다. 보유 주식 FEP에 편입되어 있는 각 섹터의 .. 경제용어 2021. 5. 12.
숏스퀴즈 뜻, 매도물량 잠김, 공매도세력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 숏스퀴즈 개념, 매도물량이 잠기면서 공매도세력 손실 증가 숏스퀴즈란 무엇인가? 숏스퀴즈라는 말은 매도포지션을 의미하는 "숏"과 쥐어짜다라는 의미가 있는 "스퀴즈"의 합성어이다. 공매도세력, 즉 주가가 떨어지는 쪽이 베팅한 사람들에게서 돈을 쥐어 짜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공매도세력은 주식을 다시 빌려서 팔아야하는데 주가가오르면 오를수록 주식을 팔지않고 매도물량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면 시중에 주식 물량 자체가 줄면서 주가가 오른다. 이러면 공매도 세력은 숏포지션에서 결국 더 큰 손실을 입게된다. 이것이 바로 숏스퀴즈이다. 숏스퀴즈, 공매도 관련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3.12.08 - [경제용어] - 시장조성자 뜻, 공매도 허가 이유, 유동성 공급자와의 차이 시장조성자 뜻, 공매.. 경제용어 2021. 5. 11.
코스닥 지수 뜻, 중소형 벤처기업, 주가 변동이 큰 시장 코스닥 지수 뜻, 중소형 벤처기업, 주가 변동이 큰 시장 코스닥이란?오늘은 코스닥 지수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알아볼 텐데요지난번 코스피 지수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이미 설명드렸었죠.반응이 좋아 코스닥에 대한 설명도 추가로 포스팅해보기로 하였습니다.코스피시장의 이야기는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KOSPI)란? 코스피지수 관련하여 난해했던 부분을 한방에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코스피 지수는 종합주가지수라고도danbi-zoa.tistory.com 코스닥(KOSDAQ)이 도대체 뭔데? 코스피(KOSPI)는 규모가 큰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이라고 이전.. 경제용어 2021. 5. 10.
고배당금 미국 주식 추천, 배당킹으로 월세 받는 포트폴리오 고배당금 미국 주식 추천, 필립모리스 3M 존슨 앤 존슨, 배당킹으로 월세 받기 미국 배당주 TOP3 미국 배당주이 투자하고 싶은데 막막한 여러분들께 Top 3 배당킹 종목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배당킹이란 50년 이상 배당을 지속적으로 지급해온 기업을 의미하는데요. 미국 주식들은 배당성향이 높아 주주친화적인 기업들이 많아서 이런 배당주 위주로 투자전략을 세우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1위 : 알트리아 그룹 (MO) 담배 만드는 회사 필립모리스의 모회사입니다. 종이 담배 말보로나 최근 개발된 아이코스 같은 제품을 만드는 회사이죠. 현재 배당률은 무려 7.8%입니다. 전 세계적인 담배회사이기에 그만큼 안전하고 우량한 회사입니다. 2위 :3M (MMM)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사무용품 중 테이프나 포스트잇을 만.. 주식투자 2021. 5. 10.
DON ETF, 중소형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월배당 현금흐름 만들기 DON ETF, 중소형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월배당 현금흐름 만들기 개요 ETF명: WisdomTree U.S. MidCap Dividend Fund Ticker: DON 운용사: WisdomTree 설립일: 2006/06/16 운용수수료: 0.38% 거래규모: $3.09B 현재 주가: $43.9 투자방법: DGRW로 유명한 Wisdom Tree에서 운용하는 ETF로, 고배당 중소형주(Mid cap)에 투자하여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으로 투자하는 ETF. 실적 코로나 이후로 빠르게 주가 회복세에 있다. 장기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이후 경기부양책 기대심리가 고조되면서 S&P, 다우, 나스닥에 속한 대형주가 아닌 중소형주들에 투자하는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는 고용률.. 경제용어 2021. 5. 10.
방공제 뜻, MCI,MCG 보증 개념, 최우선변제 기준 및 대상 방공제 뜻, MCI,MCG 보증 개념, 최우선변제 기준 및 대상 MCI,MCG 기본개념 방공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택임대차 보호법을 우선 알아야 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보면 최우선변제금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최우선변제금은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해주기 위한 법적 장치인데,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 다른 담보물권보다 우선적으로 보장받을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서울이랑 그 외지역의 일정한 임차보증금 이내의 집이 이런 문제가 발생하였을때는 최우선변제금, 즉 방공제라는 명목으로 일부 금액은 우선변제를 받을 수가 있다. 그러니까 작은 집에 전월세로 살던 세입자들이 경매로 인해 전세금이 떼일일이 없도록 보호해주기 위해서 전액은 아니지만 보증금액중 일부는 보장을 받을 수가 .. 경제용어 2021. 5. 9.
MAIN 주식, 미국기업에 투자해서 월세 받기 MAIN 주식, 미국 기업에 투자해서 월세 받기 MAIN 개요 MAIN은 미국 주식 심벌이며, 정식 기업명은 메인 스트레트 캐피털 코퍼레이션이다. 휴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자금이 필요한 중소형 기업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에 따른 금리로 수익을 내는 회사이다. MAIN을 매수하는 사람들은 월배당으로 현금흐름(Cash Flow)을 만들고자 하는 배당주 투자자들이 대부분이다. 배당이 잘 나온다는 것은 미국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사실이지만, 월로 배당을 주는 기업은 그렇게 많지 않다. ETF를 통해서 월배당을 만들기도 하지만 개별주식을 통해서 월배당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리츠 기업인 Realty Income(O)에 더하여 MAIN이 그다음으로 잘 알려져 있다. MAIN 주가 메인 스트리트 캐피털의.. 경제용어 2021. 5. 9.
CAGR 뜻, 복리연간평균성장률,미래 성장률 예측 지표 CAGR 뜻, 복리 연간 평균 성장률, 미래 성장률 예측 지표 CAGR 의미 CAGR이라는 용어는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의 준말로, 직역하면 "복리 연간 성장률"이다. Compound라는 단어의 의미는 "복합적인, 복리식의 "이라는 의미를 갖는데 이것은 우리말로 '복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연 평균 성장률"이라는 말로 불리는데 엄밀히 말하면 그 앞에 "복리 계산 시"라는 말이 붙어줘야 한다. CAGR: (복리계산시) 연평균 성장률 CAGR은 일반적으로는 매출액이나 시장규모의 전년대비 성장률을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만약 10년 정도의 시간 동안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배가 올랐다면, 어림잡아 1년 동안 10%씩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복리계산이기 때문에 .. 경제용어 2021. 5. 9.
CPI 뜻, 소비자 물가지수, 어떤 품목들이 포함되어 있을까? CPI 뜻, 소비자 물가 수준을 통해 경제를 전망하자 소비자 물가지수 CPI란 무엇인가?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경제뉴스를 보면 CPI 지표가 어떻다 저렇다 하는 이야기를 가끔 듣게 되는데요. CPI는 Consumer Price Index 의 약칭입니다. 해석해보면 그냥 소비자물가를 의미한답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바로 그 물가를 의미하는것이죠. 어려울 것이 없지요? 이 소비자물가지수라는것은 대한민국의 경우 통계청에서 지표를 산출해서 공시하고 있고요. 좀 더 엄밀히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비자 즉, 기업이 아닌 가계 단위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 가격 및 요금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예요. 그런데, 사람들이 소비하는 물건은 수도 없이 많지요. 그래서 대표품목이.. 경제용어 2021. 5. 8.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KOSPI)란? 코스피지수 관련하여 난해했던 부분을 한방에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코스피 지수는 종합주가지수라고도 합니다. 국내의 전반적인 시장의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종합주가지수라고도 불리는 건데요. 다음 설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시장에 가면 과일을 팔지 않습니까? 시장에서 파는 사과 가격, 배 가격, 귤 가격은 날마다 시세가 오르락내리락하잖아요? 그런데 만약 저는 시장에 있는 과일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과일들의 등락을 다 더한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일 것입니다. 코스피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에는 무수히 많은 기업들이 있죠. 저마다 주가의 흐.. 경제용어 2021. 5. 7.
P2P 뜻, 네트워크 사용자간 데이터 공유 방식, 탈중앙화 P2P 대출 뜻 , 플랫폼을 통한 직거래, 고위험 고수익 구조 P2P란? P2P는 Peer to peer의 약자이다. peer라는 것은 서버에 속해 있는 유저 개인을 의미한다. 그래서 P2P라는 말이 처음 탄생되었을 때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저와 유저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했다. 그러나 다양한 금융상품이 발달하고 핀테크와 같은 기술들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정보통신용어에 불과했던 이 P2P라는 용어는 경제용어로도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방식을 설명할 때 P2P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원래 대출을 일으킨다는 것은 시중은행이 민간이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P2P방식으로 대출을 하게 되면, 돈을 가진 개인이 다른 돈이 필요한 개인에게 돈을 빌려.. 경제용어 2021. 5. 7.
DGRO ETF, 배당성장 우량주 지수 추종 ETF DGRO ETF, 배당성장 우량주 지수 추종 ETF 개요 ETF명: iShares Core Dividend Growth ETF 티커: DGRO 자산운용사: Blackrock iShres 운임 수수료: 0.08% 거래규모: $18.37B 현재 주가: $50.94 투자방법: 배당성장으로 유명한 미국 대표주의 지수를 추종. 실적 코로나19 이후로 꾸준히 반등하고 있는 미국 ETF이다. 몇 번 하락기를 겪긴 했어도 이 글을 적고 있는 시점에서의 현재 주가 상황은 매우 좋다. 미국의 저금리가 이어지는 이상은 계속 좋은 퍼포먼스를 유지할 것 같다. 이런 모멘텀으로 쭉 시장 장세가 이어졌으면 좋겠지만, 경기라는 것은 항상 변동 사이클을 보이기 때문에 언제 폭락의 신호가 올지 모른다. 항상 긴장하고 다른 방어 자산을 .. 주식투자 2021. 5. 7.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최근 반도체 시장이 매우 활황인 것은 다 아는 사실이죠. 반도체는 설계와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원천기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시장에 제재를 가하기도 하고, 내수 반도체기술을 살려보고자 이런저런 정책들을 추진 중입니다.오늘은 반도체관련산업의 중요한 용어 2가지, 파운드리와 팹리스에 대해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파운드리, 팹리스 그게 뭔데?우리에겐 시간이 많지않으니 빨리 설명하고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반도체 산업의 큰 틀을 잡기 위해서는 딱 2가지 용어를 먼저 기억하고 가셔야 합니다. 바로 파운드리와 팹리스인데요.. 경제용어 2021. 5. 7.
FCF 뜻,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개념,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의미 FCF란 Free Cash Flow의 약칭으로, 잉여현금흐름, 다른 말로는 미래 현금흐름이라고도 한다. 이 FCF라는 지표는 기업분석시에 살펴보는 항목 중에 하나인데, 기업의 현금흐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무제표에서 현금주의원칙으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해의 현금이 들어오거나 나간 것을 항목별로 보여준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원리로 쓰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시시각각 흐르는 현금의 양을 디테일하게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현금흐름표를 봐야 한다. 현금흐름표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FCF,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중에서 영업비용, 세금.. 경제용어 2021.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