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538 S&P500 지수에 동일비중으로 투자하자, RSP ETF S&P500 지수에 동일비중으로 투자하자, RSP ETF 오늘 시간에는 RSP ETF를 간단하게 소개드리고자합니다. RSP는 S&P 500 지수에 상장된 기업 분산투자 하는 ETF입니다! PROFILE ETF이름 : Invesco S&P 500 Equal Weight ETF 티커명 : RSP 투자방법: RSP는 S&P500에 있는 모든 기업의 주식을 동등한 가중치로 매수 (0.3%) 운용규모: 17.60B 운임수수료: 0.20% CHARTS SECTOR & HOLDINGS RSP 투자섹터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1~10위 기업들을 보시면 모두 생소한 기업일텐데요. S&P500 안에 편입되어있는 기업들을 대형주든 소형주든 관계없이 모두 동일한 가중치로 투자하기때문에, 사실상 1~10위 Ho.. 주식투자 2021. 6. 20. 더보기 ››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EV EBITDA 개념, 한방에 이해하기 오늘은 EV/EBITDA (이브이 에비따)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재무제표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녀석이긴 한데, 모르시는 분들이 은근히 많습니다. 지금부터 짧고 빠르게 핵심만 설명드리겠습니다 EV / EBITDA 가 뭐야 도대체?! EV라는 녀석에 다 EBITDA라는 값을 나눈 것 같긴 한데.. 보기만 해서는 뜻이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나씩 살펴봅시다. EV EV는 Enterprise Value의 약자이며, 기업가치를 의미하는데요! 여기서 기업 가치란 기업의 시가총액에 순부채를 더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쉽게 말하면 그냥, 기업이 경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돈의 총합입니다. 이 기업 전체의 경영권을 사고 싶다(인수)고 하면 이 정도의 돈이 필요하다고 봐도.. 경제용어 2021. 6. 20. 더보기 ›› 정리매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정리매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주식시장은 새로운 뉴페이스들이 계속 입문하면서 도태되는 기업들은 퇴출당한다. 물갈이라고 해야 할까. 시장도 계속 순환 사이클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것이야 말로 자연의 순리이다. 봄에 핀 꽃은 겨울이 되면 질 수밖에 없다. 그리고 새로운 꽃이 핀다. 정리매매란? IPO를 하는 기업들이 있다면, 상장폐지가 되어 장외주식시장으로 빠져나가는 기업들이 있는 것이다. 정리매매는 상장폐지가 된 기업들의 주주가 상장폐지주식을 시장에 싸게 내다 놓을 수 있는 기회를 주는 제도이다. 투자자 보호차원에서 만들어진 제도라고 이해하면 된다. 한순간에 그 기업의 주식이 날아가서 휴짓조각이 된다면 너무 억울하지 않겠는가. 적어도 '산다는 사람이 있다면 팔 수 있게끔이라도 해줘야 하는 것 아닌.. 경제용어 2021. 6. 20. 더보기 ›› 돈 모으는 방법, 이것 하나만 알면 된다. 돈 모으는 방법, 이것 하나만 알면 된다. 돈을 모으고 싶은가? 당신이 돈을 모으고 싶다면, 단언컨데, 이것 하나만은 반드시 알아야 된다. 이것만 알면 돈을 관리하고자 하는 마인드셋은 끝이다. 바로, 한계효용 체감의 법칙이다. 이것이 바로 돈 모으는 방법이자 유일한 키이다. 한계효용체감의 법칙의 의미 이 법칙은 동일한 재화나 서비스를 계속해서 소비함에 따라 느껴지는 만족감, 행복도는 시간이 지날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한다는 것을 증명한 법칙이다. (법칙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유래는 별도로 검색을 해서 찾아보길 바란다. 이 포스팅은 이 법칙을 알아야 하는 이유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쉽게 말해서 어떤 물건을 구매하는 등의 행위를 지속할 때, 처음에는 기분도 좋고 설레는 마음이 들지만, 지속적으로 행할 때는 .. 경제용어 2021. 6. 20. 더보기 ›› 채권ETF TLT, 미국 채권 ETF로 안전하게 배당 받기 채권 ETF TLT, 안전자산에 분산 투자하여 배당금 받기 채권 ETF, TLT 안녕하세요! 매일 저녁 찾아오는 "ETF로 배당받자" 시간입니다. 오늘은 미국의 장기채 ETF, TLT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는 시간 가져보고자 합니다. 혹시 채권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됩니다. 그러나 어렵게 생각하시는 분이 대부분인데요. 사실, 채권에 대한 개념은 그만큼 배울게 매우 많은 부분입니다. 경제를 알기 위해서는 채권을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는 말이 있잖아요. 하지만, 우린 시간이 없으므로 짧게 핵심만 얘기하겠습니다. 채권을 왜 살까요? 주식과 채권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채권은 주식시장의 만약을 대비한 헷지수단으로 활용됩니다. 참고로, 여기서 헷지수단이란 금융위기와 같은 증시 폭.. 주식투자 2021. 6. 20. 더보기 ›› 블로그를 해야 하는 이유 블로그를 해야 하는 이유 블로그를 왜 시작하지 않는걸까? 많은 사람들이 유튜브나 블로그를 통해 수입을 만들어 내는 것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나 또한 블로그로 소정의 수익을 매달 만들어 내고 있다. 시작하기 전에는 나와는 관계없는, 완전 다른 사람의 이야기인줄 만 알았다. 그러나 하다보니 감이 잡히고, 길이 보이기 시작했다. 나도 그야말로 컨텐츠 생산자가 된것이다. 아무것도 하지 않아도 하루에 천원, 많게는 2천원씩 수익이 나는 지금. 앱테크를 눈빠지게 하던 과거를 회상하며 지금 내 모습을 보면 참 기특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이다. 첫째, 디지털 컨텐츠는 무자본으로 창업이 가능하다. 블로그는 진입장벽이 매우 낮다. 정보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다. 그 정보가 얼마나 희귀한가는 중요하지 않다. 그냥 대중.. 카테고리 없음 2021. 6. 16. 더보기 ›› 페이팔(PAYPAL), 한방에 알아보기 페이팔(PAYPAL), 한방에 알아보기 페이팔의 비즈니스 모델 페이팔은 온라인 간편결제 서비스를 도입하여 은행계좌번호나 신용카드번호를 입력하지 않고도 송금이 가능한 그야말로 '혁신'적인 기술을 최초로 선보인 기업이다. 페이팔은 주로 이베이와 같은 경매나 이커머스(E-Commerce)시장의 결제수단으로써 크게 각광받으며 현재의 페이팔이되었다. 페이팔은 중간에 한번 이베이의 자회사로 인수되었다가, 2014년 9월30일일부로 이베이에서 분리되었다. 현재 CEO는 댄 슐만이라는 사람이며, 본사는 미국 산호세에 위치하고 있다. 나스닥에는 페이팔 홀딩스(Paypal Holdings)라는 이름으로 Ticker명은 "PYPL"로 상장되어있다. 독보적인 핀테크 기업, 페이팔 페이팔은 전세계적으로 독보적인 핀테크(FinT.. 경제용어 2021. 6. 14. 더보기 ›› 램수면 주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램수면 주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수면 습관이 가장 중요하다어려서부터 어른들께 귀에 박히게 들었던 말이 있다. "규칙적인 습관이 중요하다고"본인뿐만 아니라 다들 공감할 거다. 도대체 왜일까? 왜들 그렇게 규칙적으로 잠들고 먹어야 한다고 얘기하는 것일까?이 말은 그냥 단순히 틀에 박힌듯 내뱉는 말이 아니라, 진정 과학적 원리가 숨어있기 때문에 백번 강조해도 지나지 않는다.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근본적인 물음을 타고 올라가다 보면 실질적인 이유는 하나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몸이 규칙적인 패턴을 이해하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이다. 효율이 뭔 뜻인지 모르는 분들을 위해 간단하게 설명하겠다.효율 = 사용할 수 있는 에너지 / 몸에 들어간 에너지 .. 자기계발/동기부여 2021. 6. 13. 더보기 ›› 미국주식 갤러리란, 마이너갤러리, 미니갤러리, 미국주식정보 공유 커뮤니티 미국 주식 갤러리란, 마이너 갤러리, 미니 갤러리, 미국 주식정보 공유 커뮤니티 미국 주식 갤러리, 줄여서 미갤 미국주식미국 주식 갤러리는 DC인사이드라는 커뮤니티에 속해 있는 미국 주식 관련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게시판 같은 개념이다. (DC인사이드라고 검색하면 찾을수 있다) DC인사이드라는 사이트를 처음듣는가? 간단하게 말하면, DC인사이드는 다양한 관심사별로 세부 채널을 만들어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운영되고 있는 사이트이다. 처음에는 디지털카메라 사용자들을 위해 만들어진 커뮤니티여서 DC였으나 현재는 수많은 각종 관심사들을 게시판으로 만들어놓아 수많은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다. DC인사이드의 세부채널들은 주제별로 "갤러리"라는 명칭이 붙게 된다. 예를 들면, 게임이라는 카테고리에 들어가면 세부적으로.. 카테고리 없음 2021. 6. 13. 더보기 ››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팟캐스트 경제 채널 추천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팟캐스트 경제 채널 추천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 손경제 요즘 이진우의 손에 잡히는 경제라는 프로그램을 팟캐스트를 통해 듣고 있다. 경제시사를 다루는 프로그램이 그렇게 많지 않지만, 이 만큼 쉽게 일반인들을 위해 설명해주는 프로그램은 더더욱 없는 것 같다. 출퇴근길에 팟캐스트를 통해 꾸준히 들어오고 있다. 원래는 평범한 공대생인 나는 경제, 금융에 대한 일반상식이 일(1)도 없었다. 그런데 한 1년정도 손경제를 꾸준히 듣고나니, 이제는 오히려 내 주변에 나만큼 경제에 대해 아는 사람이 없을 정도이다. 이런 컨텐츠가 또 있을까 싶다. 이진우 기자님과 다른 기자,작가분들께서 너무나도 재밌게 이야기를 나누시는 걸 보면 경제라는 딱딱한 주제를 정말 재미있게 풀어나간다. 특히 이 .. 경제용어 2021. 6. 12. 더보기 ›› 2022년 미국주식 휴장일 알아보기 2022년 미국주식 휴장일 알아보기 미국주식 휴장일 언제일까? 미국주식 휴장일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심플하다. 미국주식 휴장일은 딱 정해져있다. 미국주식 거래소와 증권사는 공식적으로 딱 9일을 쉬게 되어있다. 1월 1일: 신정(설날) 1월 셋째주 월요일: 마틴루터킹 생일 2월 셋째주 월요일: 대통령의 날 4월 부활절 직전주 금요일: 굿프라이데이 5월 마지막주 월요일 : 메모리얼데이 (국군장병의날) 7월5일 : 미국 독립기념일 9월 첫째주 월요일: 노동절 11월 넷째주 목요일: 추수감사절 12월24일 : 크리스마스 이브 참고로 위에 소개해드린 공휴일은 매해 몇일인지는 달력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이상이다. 주식투자 2021. 6. 12. 더보기 ›› 카니발라이제이션 뜻, 신제품이 주력 제품보다 많이 팔리게 되는 현상 카니발라이제이션 뜻, 신제품이 주력 제품보다 많이 팔리게 되는 현상 카니발라이제이션이란? 카니발라이제이션(Cannibalization)이라는 용어는 식인을 뜻하는 영어단어인 Cannibalism에서 기원한다. 식인이 뭔가? 그렇다. 동족을 살해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경제시장에서 카니발라이제이션이라는 말 또한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한 시장을 장악하고 있던 특정 기업이 신제품을 내놓을 때, 자사 기업의 주력제품보다 시장에서 많이 팔리게 되어 기존 제품을 잠식시키는 현상을 말한다. 쉽게 말해, 그 기업의 신제품이 더 좋은 품질이거나 시장에서 인기가 많아지면 이런일이 벌어진다. 기업차원에서는 굳이 나쁠것은 없다. 새로운 사업모델을 구축하고, 현재 트렌드를 읽을 수 있을 테니까. 경제용어 2021. 6. 10. 더보기 ›› MSCI 편입 의미, 리밸런싱 주기, 한방에 이해하기 MSCI 편입 의미, 리밸런싱 주기, 한방에 이해하기 기업 관련 뉴스를 보면 MSCI라는 말이 많이 들린다. 편입되었다? 리밸런싱 되었다? 정확히 무슨 말일까. MSCI란? MSCI는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의 준말이다. 영어를 그대로 직역해보니 대충은 알 것 같다.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는 세계적인 금융회사이고, 뒤에 Index가 붙은 것을 보니 모건스탠리에서 발행하는 지수인 것 같다. 정확히 그게 맞다. 모건스탠리는 정기적으로 MSCI, 즉 자신들만의 지수를 만들어 발표하고 있다. 엄밀히 따지면 MSCI는 선진국지수(DM)와 신흥국 지수(EM)로 나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것은 선진국 지수가 아닌 신흥국 지수이다. 또 해외에.. 경제용어 2021. 6. 10. 더보기 ›› ESG, 이젠 ETF로 투자하자, ESGU 한방에 이해하기 ESGU ETF, 한방에 이해하기 PROFILE 공식명칭 : iShares ESG Aware MSCI USA ETF 자산운용사 : BlackRock IShares 설립일 : 16/12/01 운임수수료: 0.15% 거래규모 : $17.35B 투자전략 : ESGU는 ESG를 실현하고 있는 기업을 포트폴리에 편입한다. ESG는 기후환경(Enviroment), 사회구조(Social), 지배구조(Governence)등을 고려한 경영특성을 보이는 회사에 투자한다. 주로 대기업이다. HOLDINGS Top 10 Sector는 기술주이다. 미국은 기술의 천조국이기 때문일까, 역시나 빠지지 않는 Apple과 MS는 ESG경영도 잘하나 보다. 아니, 사실 따지고 보면 경제적인 여유가 있는 기업들이 ESG를 할 수 있는 여.. 카테고리 없음 2021. 6. 9. 더보기 ›› 이행강제금 뜻, 10초만에 이해하기 이행강제금이란? 지자체에서 위반사항에 대한 내용을 담에 대상자에게 부과하는 과징금이다. 예를 들어 불법 건축물을 만들었다던가, 건물의 용도위반을 했을 경우 날아온다. 불법 건축물을 매수했을경우 간혹 가다 이행강제금이 날아오면 매수자가 당황하게 되는 사례가 있다. 불법인지 모르고 산경우에는 그만큼 억울한 일이 또 있겠는가. 사례 1 주택의 확장 특히 대표적인 게 주택의 확장 사례이다. 발코니나 데크 등을 확장한 채로 물건이 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건축물대장에 평수가 다르므로 잘 확인해야 한다. 사례 2 근생 빌라 주택이 아닌 용도를 주택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1,2층이 상가용도로 허가된 건물을 특별하게 개조해서 상가로 이용하고 있는 데, 그 집을 매수하는 경우 강제이행금이 부과된다. 결.. 경제용어 2021. 6. 9. 더보기 ›› 버진 갤럭틱 홀딩스, 간단히 알아보자 버진 갤럭틱, 간단히 알아보자 Virgin Galactic Holdings Inc (SPCE) 버진갤럭틱은 우주항공 비행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항공우주 회사이다. 창업자는 리처드 브랜슨이며 현재 CEO는 마이클 콜글래지어라는 사람이다. 고객으로 하여금 무중력 상태와 우주공간에서 광활한 지구를 바라보는 멋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우주 비행시스템을 끊임 없이 연구하고 있는 회사이다. The Spaceship Company 를 자회사로 보유하고 있고, 모하비에서 우주선을 제조한다고 한다. 주로 연구하고 있는 우주비행 시스템은 3가지 인데, 항공 모함, 우주선, 하이브리드 로켓 모터이다. 일론머스크가 테슬라와 함께 CEO로 있는 스페이스X, 아마존의 CEO 제프베조스가 창립한 블루오리진과 함께 미.. 경제용어 2021. 6. 7. 더보기 ››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미국ETF로 패시브 인컴 만들자 애드포스트, 애드센스, 미국ETF로 패시브 인컴 만들자 광고플랫폼으로 월세받자 근래 들어 많은 사람들이 패시브 인컴을 만들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찾는다. 패시브 인컴이라는 말은 원래 잘 쓰이지 않던 말이었는데, 요즘은 많은 이들의 관심사가 되었다. 우선 Passive Income이라는 단어의 의미를 알아보자. 보는 그대로이다. "Passive = 자동적인, Income = 수입" 즉, 자동적으로 수입이 들어오는 것을 말한다. 많은 이들이 자동적으로 수입이 들어오기 위한 시스템을 고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유튜브도 그렇고, 블로그가 대표적인 예이다. 영상 속이나 혹은 좋은 글 속에서 나타나는 나의 분신이 트래픽 (Traffic)을 만들어낸다. "Traffic"이라는 말은 원래 "교통량"이라는 말인데.. 경제용어 2021. 6. 7. 더보기 ›› 리츠ETF, KBWY 미국 중소형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월세받아보자 리츠ETF, KBWY, 미국 중소형 리츠에 투자하여 월세받아보자 미국ETF는 투자자들에게 더할나위 없이 좋은 금융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특히 채권이나 원자재와 같은 선물에도 손쉽게 접근하고 환금이 가능한 방식이여서 ETF가 각광받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간접식 투자방식인 펀드에는 자금이 모두 빠져나가고 ETF와 같은 직접투자상품으로 쏠리고 있다는 이야기가 최근에 많이 들린다. 오늘은 리츠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 한다. 리츠란? 리츠(REITs)라는 말을 투자에 관심있는사람이라면 언젠가 한번쯤 들어봤을 가능성이 높다. 리츠는 쉽게 말해 투자자들이 건물을 나눠서 구매한후에 이 건물을 통해 얻게되는 월세를 배당형식으로 회사로 부터 받는 투자 방식을 일컫는 말이다. 그리고 리츠 회사라고 하면 그런 투자방식을 .. 경제용어 2021. 6. 6. 더보기 ›› 포스트 코로나, 변동성 시대에서 살아남기위해 알아야 하는 사실 포스트 코로나, 변동성 시대에서 살아남기위해 알아야 하는 사실 최근 코로나 19가 확산되며 그 어느 때보다도 추운 겨울이 되었습니다. 5인 이하 사적 모임 금지로 인해, 친구들과 나누던 잡담 소리도 사라졌지요. 언제까지 갈까요. 솔직히 무섭습니다. 최근 넷플릭스로 봤던 영화 마션이 떠오릅니다. 주인공 와트니가 화성이라는 행성에 홀로 남겨집니다. 홀로 남겨진 한 우주비행사가 영혼을 짓누르는 듯한 두려움과 외로움을 이겨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영화지요. 조난당하는 그 순간부터 와트니에게는 도저히 풀 수 없을 것 같은 문제의 연속입니다. 그러나 그때마다 위트 있고 긍정적인 자세로 문제를 해결해 갑니다.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물을 만들고, 최초로 화성산 유기농 감자를 수확합니다. 그는 어려움에 직면할 때마다.. 자기계발 2021. 6. 6. 더보기 ›› 주식 BPS, 주당순자산가치, 한방에 이해하기 주식 BPS, 주당순자산가치, 한방에 이해하기 경제나 투자에 관심을 갖고 공부하시다 보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표 중 하나인데요! 오늘의 주인공, 바로 BPS 입니다. BPS란? BPS(Book Value Per Share)는 주당순자산가치 라고 불립니다. Book Value 라는 단어의 뜻이 순자산 (=자기자본) 을 의미하거든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BPS는 특정 기업이 당장 활동을 모두 중단한다고 할때, 지금 현시점에서 주주들에게 돌아가는 몫을 의미 합니다. 지금부터 설명을 드릴게요. 기업은 사업을 통해 많은 자산을 가지고 있죠. (개인에 비하면) 하지만 기본적으로 부채도 어느정도 갖고 있습니다. 그럼 어떤 회사의 순자산가치는 기업의 가진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값입니다. (자본이라고도 합니다.) 그.. 경제용어 2021. 6. 6. 더보기 ›› 이전 1 ··· 113 114 115 116 117 118 119 ··· 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