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용어1400

숏스퀴즈 뜻, 매도물량 잠김, 공매도세력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 숏스퀴즈 개념, 매도물량이 잠기면서 공매도세력 손실 증가 숏스퀴즈란 무엇인가? 숏스퀴즈라는 말은 매도포지션을 의미하는 "숏"과 쥐어짜다라는 의미가 있는 "스퀴즈"의 합성어이다. 공매도세력, 즉 주가가 떨어지는 쪽이 베팅한 사람들에게서 돈을 쥐어 짜내는 것을 의미한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공매도세력은 주식을 다시 빌려서 팔아야하는데 주가가오르면 오를수록 주식을 팔지않고 매도물량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면 시중에 주식 물량 자체가 줄면서 주가가 오른다. 이러면 공매도 세력은 숏포지션에서 결국 더 큰 손실을 입게된다. 이것이 바로 숏스퀴즈이다. 숏스퀴즈, 공매도 관련 함께 알아두면 도움되는 글 2023.12.08 - [경제용어] - 시장조성자 뜻, 공매도 허가 이유, 유동성 공급자와의 차이 시장조성자 뜻, 공매.. 경제용어 2021. 5. 11.
코스닥 지수 뜻, 중소형 벤처기업, 주가 변동이 큰 시장 코스닥 지수 뜻, 중소형 벤처기업, 주가 변동이 큰 시장 코스닥이란?오늘은 코스닥 지수라는 개념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알아볼 텐데요지난번 코스피 지수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이미 설명드렸었죠.반응이 좋아 코스닥에 대한 설명도 추가로 포스팅해보기로 하였습니다.코스피시장의 이야기는 아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KOSPI)란? 코스피지수 관련하여 난해했던 부분을 한방에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코스피 지수는 종합주가지수라고도danbi-zoa.tistory.com 코스닥(KOSDAQ)이 도대체 뭔데? 코스피(KOSPI)는 규모가 큰 기업들의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이라고 이전.. 경제용어 2021. 5. 10.

DON ETF, 중소형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월배당 현금흐름 만들기 DON ETF, 중소형 고배당주에 투자하여 월배당 현금흐름 만들기 개요 ETF명: WisdomTree U.S. MidCap Dividend Fund Ticker: DON 운용사: WisdomTree 설립일: 2006/06/16 운용수수료: 0.38% 거래규모: $3.09B 현재 주가: $43.9 투자방법: DGRW로 유명한 Wisdom Tree에서 운용하는 ETF로, 고배당 중소형주(Mid cap)에 투자하여 배당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으로 투자하는 ETF. 실적 코로나 이후로 빠르게 주가 회복세에 있다. 장기간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바이든 대통령 당선 이후 경기부양책 기대심리가 고조되면서 S&P, 다우, 나스닥에 속한 대형주가 아닌 중소형주들에 투자하는 위험자산 선호심리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는 고용률.. 경제용어 2021. 5. 10.
방공제 뜻, MCI,MCG 보증 개념, 최우선변제 기준 및 대상 방공제 뜻, MCI,MCG 보증 개념, 최우선변제 기준 및 대상 MCI,MCG 기본개념 방공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택임대차 보호법을 우선 알아야 한다. 주택임대차보호법을 보면 최우선변제금이라는 개념이 나온다. 최우선변제금은 임차인의 권리를 보호해주기 위한 법적 장치인데, 세입자가 집주인으로부터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 다른 담보물권보다 우선적으로 보장받을수 있도록 만든 것이다. 서울이랑 그 외지역의 일정한 임차보증금 이내의 집이 이런 문제가 발생하였을때는 최우선변제금, 즉 방공제라는 명목으로 일부 금액은 우선변제를 받을 수가 있다. 그러니까 작은 집에 전월세로 살던 세입자들이 경매로 인해 전세금이 떼일일이 없도록 보호해주기 위해서 전액은 아니지만 보증금액중 일부는 보장을 받을 수가 .. 경제용어 2021. 5. 9.
MAIN 주식, 미국기업에 투자해서 월세 받기 MAIN 주식, 미국 기업에 투자해서 월세 받기 MAIN 개요 MAIN은 미국 주식 심벌이며, 정식 기업명은 메인 스트레트 캐피털 코퍼레이션이다. 휴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자금이 필요한 중소형 기업들에게 대출을 해주고 이에 따른 금리로 수익을 내는 회사이다. MAIN을 매수하는 사람들은 월배당으로 현금흐름(Cash Flow)을 만들고자 하는 배당주 투자자들이 대부분이다. 배당이 잘 나온다는 것은 미국주식을 하는 사람이라면 모두 아는 사실이지만, 월로 배당을 주는 기업은 그렇게 많지 않다. ETF를 통해서 월배당을 만들기도 하지만 개별주식을 통해서 월배당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리츠 기업인 Realty Income(O)에 더하여 MAIN이 그다음으로 잘 알려져 있다. MAIN 주가 메인 스트리트 캐피털의.. 경제용어 2021. 5. 9.

CAGR 뜻, 복리연간평균성장률,미래 성장률 예측 지표 CAGR 뜻, 복리 연간 평균 성장률, 미래 성장률 예측 지표 CAGR 의미 CAGR이라는 용어는 Compound Annual Growth Rate의 준말로, 직역하면 "복리 연간 성장률"이다. Compound라는 단어의 의미는 "복합적인, 복리식의 "이라는 의미를 갖는데 이것은 우리말로 '복리'를 의미하기도 한다. 국내에서는 "연 평균 성장률"이라는 말로 불리는데 엄밀히 말하면 그 앞에 "복리 계산 시"라는 말이 붙어줘야 한다. CAGR: (복리계산시) 연평균 성장률 CAGR은 일반적으로는 매출액이나 시장규모의 전년대비 성장률을 나타내기 위해 쓰인다. 만약 10년 정도의 시간 동안 어떤 기업의 주가가 10배가 올랐다면, 어림잡아 1년 동안 10%씩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복리계산이기 때문에 .. 경제용어 2021. 5. 9.
CPI 뜻, 소비자 물가지수, 어떤 품목들이 포함되어 있을까? CPI 뜻, 소비자 물가 수준을 통해 경제를 전망하자 소비자 물가지수 CPI란 무엇인가?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경제뉴스를 보면 CPI 지표가 어떻다 저렇다 하는 이야기를 가끔 듣게 되는데요. CPI는 Consumer Price Index 의 약칭입니다. 해석해보면 그냥 소비자물가를 의미한답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바로 그 물가를 의미하는것이죠. 어려울 것이 없지요? 이 소비자물가지수라는것은 대한민국의 경우 통계청에서 지표를 산출해서 공시하고 있고요. 좀 더 엄밀히 말씀드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소비자 즉, 기업이 아닌 가계 단위에서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상품 가격 및 요금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수예요. 그런데, 사람들이 소비하는 물건은 수도 없이 많지요. 그래서 대표품목이.. 경제용어 2021. 5. 8.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 지수 뜻, 종합주가지수, 한국 증시 상황을 확인하는 지표 코스피(KOSPI)란? 코스피지수 관련하여 난해했던 부분을 한방에 설명해드리고자 합니다. 우선 코스피 지수는 종합주가지수라고도 합니다. 국내의 전반적인 시장의 상태를 보여주기 때문에 종합주가지수라고도 불리는 건데요. 다음 설명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시장에 가면 과일을 팔지 않습니까? 시장에서 파는 사과 가격, 배 가격, 귤 가격은 날마다 시세가 오르락내리락하잖아요? 그런데 만약 저는 시장에 있는 과일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알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모든 과일들의 등락을 다 더한 가격이 올랐는지 내렸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일 것입니다. 코스피도 마찬가지입니다. 국내에는 무수히 많은 기업들이 있죠. 저마다 주가의 흐.. 경제용어 2021. 5. 7.

P2P 뜻, 네트워크 사용자간 데이터 공유 방식, 탈중앙화 P2P 대출 뜻 , 플랫폼을 통한 직거래, 고위험 고수익 구조 P2P란? P2P는 Peer to peer의 약자이다. peer라는 것은 서버에 속해 있는 유저 개인을 의미한다. 그래서 P2P라는 말이 처음 탄생되었을 때는 네트워크 상에서 유저와 유저 간 데이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했다. 그러나 다양한 금융상품이 발달하고 핀테크와 같은 기술들이 자리잡기 시작하면서, 정보통신용어에 불과했던 이 P2P라는 용어는 경제용어로도 사용되기 시작되었다. 돈을 빌리고 빌려주는 방식을 설명할 때 P2P라는 용어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원래 대출을 일으킨다는 것은 시중은행이 민간이나 기업에게 돈을 빌려주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P2P방식으로 대출을 하게 되면, 돈을 가진 개인이 다른 돈이 필요한 개인에게 돈을 빌려.. 경제용어 2021. 5. 7.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파운드리 팹리스 뜻, 한방에 이해하기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최근 반도체 시장이 매우 활황인 것은 다 아는 사실이죠. 반도체는 설계와 제조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전 세계적으로 가장 중요한 원천기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만큼 중요하기 때문에 미국이 중국의 반도체 시장에 제재를 가하기도 하고, 내수 반도체기술을 살려보고자 이런저런 정책들을 추진 중입니다.오늘은 반도체관련산업의 중요한 용어 2가지, 파운드리와 팹리스에 대해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파운드리, 팹리스 그게 뭔데?우리에겐 시간이 많지않으니 빨리 설명하고 포스팅을 끝내겠습니다. 간단합니다. 반도체 산업의 큰 틀을 잡기 위해서는 딱 2가지 용어를 먼저 기억하고 가셔야 합니다. 바로 파운드리와 팹리스인데요.. 경제용어 2021. 5. 7.
FCF 뜻,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개념, 잉여현금흐름, 현금흐름표에서 확인, 실질 가처분 소득 FCF 의미 FCF란 Free Cash Flow의 약칭으로, 잉여현금흐름, 다른 말로는 미래 현금흐름이라고도 한다. 이 FCF라는 지표는 기업분석시에 살펴보는 항목 중에 하나인데, 기업의 현금흐름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재무제표에서 현금주의원칙으로 작성된 것이기 때문에, 그 해의 현금이 들어오거나 나간 것을 항목별로 보여준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원리로 쓰였기 때문에 전체적인 기업의 재무건전성을 보여주긴 하지만, 시시각각 흐르는 현금의 양을 디테일하게 분석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래서 현금흐름표를 봐야 한다. 현금흐름표에는 다양한 항목들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FCF, 잉여현금흐름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중에서 영업비용, 세금.. 경제용어 2021. 5. 6.

REGL ETF, S&P선정 MidCap 400 중소형주 지수 추종 ETF, REGL ETF, 한방에 알아보기 개요 ETF명: ProShares S&P MidCap 400 Dividend Aristocrats ETF (REGL) 자산운용사: ProShares 운임 수수료: 0.41% 거래규모: $4.02B 현재 주가: 73.12$ 투자방법: S&P에서 선정한 Mid Cap 400 Index에 포함된 기업 중에서 최소 15년 이상 연속 배당금을 늘린 중소형주 회사의 지수를 추종. 성과 코로나 이후에 꾸준한 상승세를 보여 근 1년 평균 수익률은 50%에 육박한다. 중형주의 가치가 계속 올라간다는 것은 저금리 기조가 계속 유지되면서 위험자산 선호현상이 강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S&P에서 선정한 기업들의 지표 대부분이 이런 식으로 상승기조를 보이고 있다. 보유주식 주요 투자섹터를 보면.. 경제용어 2021. 5. 5.
자본소득세율 뜻, 미국의 양도소득세, 부유층에게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정책 자본소득세율이란, 미국의 양도소득세, 부유층에게 세금을 내도록 하는 정책 자본소득세율 인상 의미 자본소득세율은 미국에서 부과하는 소득세의 한 종류이다. 말 그대로 막대한 자본을 이용해서 얻게 되는 '자본소득'에 과세를 하겠다는 취지이다. 때문에 자본을 이용해 주식이나 부동산등에 투자하여 이익이 발생하면 세금을 부과하게 되어있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비슷한 것이 있다. 바로 주식 매매시 발생한 양도차익에 대해 과세하는 양도소득세가 바로 그것이다. 최근에, 바이든정부가 자본소득세를 인상안을 발표하여 이슈가 되었다. 바이든 정부는 민주당인데, 민주당의 스탠스는 본래 세금을 걷어 복지량을 늘리는 것이다. 그래서 부유한 계층이 투자자산, 금융상품을 매수 매도하여 양도차익을 많이 이루어내면 세금을 많이 내도록 정책.. 경제용어 2021. 5. 5.
PMI 뜻,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경제 전망 지표 PMI 뜻, 미국 ISM 제조업 구매관리자 지수, 경제 전망 지표 ISM협회의 PMI지수 오늘은 경제성장률을 예측하는 중요한 지표 하나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미국에는 공급관리자 협회라는 곳이 있어요. 줄여서 ISM(The Institute of Supply Managemet) 이라고도 부른답니다. 이곳에서 하는 일중에 가장 대표적인 일 하나가 있는데요. 바로 PMI라는 리포트를 발간하는 것입니다. PMI는 Purchasing Manager Index의 약칭인데요. 구매관리지수라고 부릅니다. 다시 말해서, ISM이라는 기관에서 구매관리 지수를 조사해서 공시하는 것입니다. Purchasing Maner라는 건 우리나라로 따지면 기업(주로 제조업)에 속해 있는 자재과 팀장, 구매팀장이라고 볼 수 있어요. 즉.. 경제용어 2021. 5. 4.

성장주 가치주 차이, 기술주와 경기민감주, 의미 이해하기 성장주 가치주 의미, 개념 차이, 나스닥과 다우존스와 유사 성장주와 가치주 주식 관련 콘텐츠나 기사를 보다 보면 성장주, 가치주라는 단어가 자주 나온다. 주식이긴 주식인데 성장을 하는 주식, 가치가 있는 주식?이라는 의미인 것 같긴 한데, 두 가지가 매번 혼동되기 일쑤이다. 정확히 성장주와 가치주의 차이는 무엇일까? 가치주 가치주를 설명할때는 보통 PER이 낮은, 즉 저평가되어 있는 주식이라고까지만 설명하곤 한다. 그러나 가치주라는 단어는 엄밀히 말하면 "저평가되어있는 우량주"라고 봐야 맞다. 우량주도 주가가 오르락내리락하면서 언젠간 주가가 하락하는 타이밍이 오는데, 그 타이밍에 매수하는 것을 가치주 투자라고 하는 것이다. PER이 낮다는 부분도 따지고 보면, 그 기업의 순이익이 높기 때문인 것을 반증하.. 경제용어 2021. 5. 4.
미국 월배당 ETF 모음 미국 월배당 ETF 모음 대형주 및 배당귀족주 월배당ETF DIA SPHD QYLD SDIV DIV PEY NOBL DON DGRW SPDV QDIV DLN DHS JEPI KBWD SMHB AMZA CDL CDC DTD DES OUSA SPLV QQQN CFO DGRS XRLV ULVM RFFC CSA USVM 리츠ETF EPR SRET O LTC 고정배당우선주 PXFX PGX PFF VRP 채권ETF (매월 이자지급) TLT VCLT IEF SHY SHV IEI TLH GOVT 특수종목(중소벤처케피탈, 월배당지급) MAIN 경제용어 2021. 5. 2.
블록딜 뜻,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한 후 장마감 후 일괄매각 행위 블록딜 개념, 가격과 물량을 미리 정한 후 장 마감 후 일괄매각 행위 블록딜이란? 블록딜(Block Deal)이란 말의 의미는 매도자와 매수자 간 가격과 물량을 정해놓고 개인투자자들과는 별개로 이루어지는 거래를 말한다. 개인투자자들에게 피해가 갈 수 있으므로, 정규 장시간이 아닌 장외 시간대에 대규모 거래가 이루어진다. 설명이 길게 필요없을것 같다. 기업의 인수합병에서는 대규모의 주식이 사고 팔리는 거액거래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당연히 주가 변동폭이 커질 수밖에 없다. 쉽게 말하면 큰손들의 거래가 바로 블록딜이다. 만일 이런 블록딜을 정규 장이 열리는 시간에 처리하게 되면 개인투자자와 같은 소액주주들은 큰 변동폭에 당황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시장 자체의 요동이 더 심해질 수도 있고, 큰 손실을 보는 .. 경제용어 2021. 5. 2.

ROE, ROA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자기자본이익률 ROE, ROA와 무슨 차이가 있을까, 자기 자본 이익률 어김없이 찾아오는 머니머신팩토리의 경제용어 한방에 이해하기 시간입니다. 오늘은 ROE에 대해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 합니다. ROE는 기업의 재무제표를 볼 때 가장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입니다. 보통 ROA와 묶어서 설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요. 우리의 뇌가 피곤해 할 수 있으니 오늘은 ROE만 짧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OE (Return on Equity) Return on Equity라는 영문을 잘 살펴보면 뭔진 잘 모르겠지만, Equity(지분)을 다시 돌려받다(Return)라는 의미가 있는 것 같습니다. ROE를 우리말로는 자기 자본 이익률이라고 부른답니다. 영어 뜻 그대로 자기 자본을 투자해서 얼마만큼의 수익을 다시 가져왔느.. 경제용어 2021. 4. 29.
건폐율 용적률 뜻, 계산 방법, 연면적 개념 이해하기 건폐율 용적률 뜻, 계산 방법, 연면적 개념 이해하기 건폐율 용적률 차이 및 개념 안녕하세요, 머니머신팩토리입니다! 최근 용적률을 늘린다며 여러 가지 정부 정책들이 나오고 있는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제용어 중에서도 부동산 관련 경제뉴스에 많이 나오는 건폐율과 용적률에 대해 짧게 알아보겠습니다. 항상 그래 왔던 것처럼, 짧고 임팩트 있는 설명 들어갑니다. 항상 그래 왔던 것처럼, 짧고 임팩트 있는 설명 들어갑니다. 건폐율 뜻 건폐율이라는 것의 정의를 살펴보면 건물을 의미하는 세울 건(建) 자에, 가린다는 의미의 가릴 폐(蔽)로 적는데요. 즉, 건물이 땅을 얼마나 가리고 있는가를 의미합니다. 그래서 대지면적 가운데 건축물의 면적이 차지하고 있는 면적의 비율을 구해보면 건폐율이 된답니다. 좌측 그림.. 경제용어 2021. 4. 29.
레포시장 뜻, RP 의미, 초단기 자금조달 금융시장, 환매입 조건부 채권 레포시장 뜻, RP 의미, 초단기 자금조달 금융시장, 환매 조건부 채권 레포시장이란? 결론부터 말하면, 레포시장의 레포(Repo)라는 단어는 Repurchase Agreement를 줄여서 말하는 것이다. 즉, 우리가 흔히 말하는 환매조건부 채권(RP)을 뜻한다. 그리고 RP는 금융회사가 자금을 운영하다 급전이 필요해지는 경우 발행하는 채권이다. 그럴 땐 자기들이 가진 회사채를 담보로 하여 초단기로 돈을 빌려 자금을 조달한다. 그래서, 레포(Repo) 시장이란 초단기로 금융회사가 돈을 빌리는 시장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환매, 다시 사들이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채권을 팔고 돈을 빌리는 것을 말한다. 우리나라 증권사에도 RP를 이용하여 하루 만에 이자를 붙여주는 상품들이 있다. 이렇게 하루씩 이자를 붙여.. 경제용어 2021.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