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 위험관리,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이 현금을 팔아야 할 때입니다.
자산관리, 위험관리, 아이러니하게도 지금이 현금을 팔아야 할 때입니다. 자산관리, 위험관리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어느덧 한 달 하고도 보름 정도가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경제, 투자에 관한 올바른 상식을 알려드리고, 자신의 자산을 관리하실 수 있는 능력을 키워드리고 싶어 이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많은 분들이 놀러 와서 댓글 남겨주시고, 많은 성원을 해주셔서 더욱 즐겁고 보람 있게 하고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와서 하나라도 얻어갈 수 있다는 사실이 너무 기쁩니다. 그래서 블로그를 단지 수익의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저의 라이프 스타일로 가져가겠노라 결심했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코로나 이후로 경제지표들이 불안 불안합니다. 위험자산의 가격은 오르고 있지만 실물경제는 상황이 좋지 않지요. 글..
경제관련
2021. 1. 3.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트리클다운 이코노믹, Trickle-down Economics Effect 낙수효과 의미 고소득층 혹은 대기업의 성과가 좋아지면, 아래쪽으로 연쇄작용을 일으켜 저소득층에게 이익이 분배되고, 결국 경제 이익이 향상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트리클다운(Trickle-down)이라는 말은 위에서 물방울이 뚝뚝 떨어지는 것을 연상시키는 단어입니다. 그래서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경제 흐름이 생기는 것도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이라고 말한답니다. 다른 말로는 "낙수효과"라고도 불리죠. 트리클다운 이코노믹은 대기업과 고소득층부터 성장시키면, 자연히 관련된 1차, 2차 산업이 발전하고 일자리가 창출된다는 이론이에요. 예를 들면, 대기업에 매출실적이 오르면, 장사가 잘된다는 것이니, 더 많은 일자리가 필요하겠죠?? 그..
경제관련
2020. 12. 30.
EPS 뜻, 주당 순수익, 주식 한주를 보유할 때, 회사의 이익 중 당신의 몫의 비중
EPS 뜻, 주당 순수익, 주식 한주를 보유할 때, 회사의 이익 중 당신의 몫의 비중 EPS 의미 오늘은 EPS에 대해 한방에 이해하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EPS는 주당순이익을 의미합니다. Earning Per Share의 약자입니다. 의미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여기서 순이익이라는 말은 기업이 순수하게 벌어들인 이익을 의미하지요. 즉, 매출액에서 원가나 판매, 관리하는데 드는 인건비, 법인세 및 기타 손실비용을 모두 빼서 순수하게 기업이 가져갈 수 있는 돈이에요. 이걸 순수익이라고 하구요. 그런데, 주식시장에 상장되어있는 회사는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모두 회사의 주인이잖아요? 그러니까, 1주를 가진 주주가 벌어들인 순수익을 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기업이 벌어들인 순수익에서 총 주..
주식투자
2020. 12. 22.